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했던 '지역화폐' 예산이 윤석열 정부에서 감축된 것을 두고 시민사회의 비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부산참여연대, 부산경실련,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 등은 29일 오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속에 자리잡고 있는 지역화폐 동백전 예산 더 확대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정부는 오는 2023년 지역화폐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부산은 지역화폐 '동백전'을 운영 중이지만 정부 지원 예산이 삭감되면 전체 예산마저 축소될 위기에 놓였다.
부산뿐만 아니라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각 지역은 새로운 발전 동력없이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화폐를 운영해왔고 부산만 놓고 보면 올해에만 2조원가량 발행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음이 증명된 상황이다.
지난 2020년 8월 부산연구원에서 소비자(실사용자) 300명, 소상공인 가맹점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동백전은 월평균 사용액이 28만3000원에 소상공인 가맹점 월평균 매출액 67만8000원에 달하는 등 효과를 보고 있었다.
또한 최근 한 소비자단체의 조사에서는 동백전 사용이 부산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지 묻는 질문에서 사용자의 78.4%, 비사용자 44.0%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다.
이에 부산 시민사회는 "부산지역 중소상인, 소비자단체, 택시업계에서도 동백전 예산 확대를 호
소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시는 동백전 예산편성을 최소한 예년 수준 또는 그보다 확대한 수준으로 편성해야 할 것이며, 부산시의회도 이에 대한 시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예산 심의 때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