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하철노조가 임금·단체협상 교섭 결렬에 따라 오는 30일부터 파업 돌입을 예고했다.
부산시 등은 최종 교섭마려 결렬되어 파업이 실시될 경우 교통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8일 부산시, 부산교통공사, 부산지하철노조 등에 따르면 오는 30일 오전 5시부터 지하철노조가 파업에 돌입한다.
노조는 지난 5월부터 15차례에 걸쳐 임단협 교섭을 진행하면서 임금 6.1% 인상과 인력증원 및 공무직 처우개선을 요구했으나 사측은 정부지침인 임금 1.4% 인상을 유지하는 등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결국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통해 최종 조정안도 마련하지 못했고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도 찬성이 77.9%에 달하면서 쟁의권을 확보해 오는 30일부터 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파업 전 노사는 오는 29일 노포차량사업소에서 마지막 교섭을 진행할 예정으로 이마저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노조의 파업에 따라 지하철 운행에 차질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 파업에 대비해 부산시, 부산교통공사 등은 28일 대책회의를 열고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1~3호선은 출퇴근시간대(오전 7~9시, 오후6~8시)에 평소와 같이 100% 정상운행하고, 기타 시간대에는 50% 수준으로 운행하며, 무인경전철인 4호선은 평시 대비 100%로 정상 운행된다.
또한 교통공사는 관제·전기·신호·차량 등 7개 기술 분야 필수인력 1289명과 비조합원 등 자체인력 468명, 외부인력 529명까지 비상가용인력 2286명을 현장에 투입해 도시철도 안전 운행 및 승객불편 최소화에 힘쓴다.
부산시도 택시부제 및 승용차요일제를 일시 해제하고 도시철도 운행률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경우 도시철도 노선과 비슷한 구간에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증차하는 등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병진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도시철도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산교통공사 노사 양측이 최종교섭에 전향적인 자세로 임해줄 것”이라며 “시민들에게도 가까운 거리 걷기, 버스·마을버스·택시 등 대체교통수단 이용을 통해 교통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