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전북대 도안티루루엔 박사 새로운 개념 3차원 분리막 개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전북대 도안티루루엔 박사 새로운 개념 3차원 분리막 개발

차세대 리튬-황 배터리 단점 극복...환경공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게재

▲전북대학교 바이오나노융합공학과 도안티루 루엔 박사  ⓒ전북대

전북대학교 바이오나노융합공학과 도안티루 루엔 박사(이하 루엔 박사)가 '황'을 이용한 차세대 배터리 분리막을 개발해 세계 학계가 주목하고 있다.

전북대에 따르면 루엔 박사의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은 ‘Rationally designed NiS2-MnS/MoS2 hybridized 3D hollow N-Gr microsphere framework-modified celgard separator for highly efficient Li-S batteries’라는 제목으로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비: 인바이러멘탈(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IF 24.319)'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루엔 박사는 리튬-황 배터리가 갖는 분리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용화 된 분리막 소재 표면에 폴리스티렌 마이크로 구체와 그래핀, 촉매를 각각 코팅해 3차원 형상의 새로운 분리막(3D hollow N-doped graphene microsphere framework)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개발한 분리막이 효과적으로 다황화물의 확산을 제한하고 고차 다황화물을 저차로 환원시켜 셔틀효과를 억제하는 성능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리튬-황 전지의 용량과 수명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최근 전기자동차나 모바일 기기, 대용량 전기저장장치(ESS) 등에 ‘리튬-이온(Li-Ion)’ 배터리가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주요 자원인 리튬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배터리 완성품 제조 업체의 부담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때문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로 리튬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황’을 이용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황 배터리는 다황화물(Polysulfide)에 의한 셔틀효과(shuttle effect)로 인한 용량 저하와 다황화물이 성장하면서 생기는 덴드라이트(Dendrite)에 의해 분리막을 손상시켜 내부 쇼트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아직까지 해결해야할 숙제로 남아 있다.

루엔 박사는 "앞으로 코인셀 뿐만 아니라 파우치 형태로도 가능성을 확인 할 계획"이라며 "좀 더 안정된 고용량의 리튬-황 배터리의 분리막을 개발하는데 더욱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인

전북취재본부 최인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