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황령산 정상에 25층 높이의 전망대를 짓는 개발 사업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자 지역 환경단체와 시민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환경회의,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7일 오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황령산 개발 앞장서는 부산시는 시대상황을 직시하라"며 "지역건설자본 이해 대변하는 부산시는 각성하고 계획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현재 부산시는 지난 8월 25일 황령산유원지 조성계획(도시관리계획) 변경(안) 열람공고를 낸 바 있다. 변경안에는 황령산 정상부에 25층 높이의 전망대와 로프웨이 설치 계획이 반영됐다.
이는 지난해 8월 19일 박형준 부산시정 출범 후 장기표류과제로 선정됐던 황련산유원지 개발사업 관련 부산시와 대원플러스그룹이 체결한 업무협약 내용과 일치하다.
부산시와 대원플러스그룹은 13년째 흉물로 방치된 황령산 스노우캐슬 정상화는 물론 봉수전망대 조성을 통해 국제관광도시에 걸맞은 인프라를 구축해 관광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황령산 유원지 개발은 이미 지난 2004년 아시아드타워 개발계획이 알려지면서 지역 시민사회의 반발이 심화된 사안이다. 전망대 건립 계획은 이후에도 수차례 나왔으나 예산 및 낭비성 정책이 도마위에 올랐고 특히 환경훼손이라는 문제는 해결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번에도 시민사회는 "부산의 성장 과정에 있어 황령산이라는 지리적 입지와 역사자원을 뭉개고 더 세진 생태환경의 수요를 내팽개친 20세기형 무조건 짓고 보자는 후진적 개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 미션을 도외시하고 특정 업체의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특혜성 사업이다"며 "부산시의 도시관리계획 결정 변경은 심하게 말하면 개발 업자의 이익을 위해 팔을 걷어 부치겠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사회는 "국제 관광 거점을 들먹이며 황령산을 유인하는 작금의 개발계획 어디에도 정년 시민과 지구를 위한 노력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다"며 "무엇을 위한 개발이며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를 되묻고 싶다"고 지적하면서 황령산 개발 백지화를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