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도 버스노조 파업에 따른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 관계기관들이 대책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오는 26일 부산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 예고에 따라, 노사 간의 원만한 협상을 유도해 나가는 한편 파업에 이르게 되는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박형준 부산시장이 버스 파업에 대비해 시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응을 지시하고, 구·군 유관기관의 협조를 당부한 결과다.
시는 버스 파업에 대비해 우선 대체 교통수단을 마련했다. 전세버스 327대를 59개 노선에 긴급 투입하고 구·군에서도 승합차를 교통취약지구에 집중 투입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한다. 이외에도 도시철도, 경전철 증편, 택시 부제 해제 등 가용한 모든 교통수단을 총동원해 시민 수송 능력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출퇴근 시간 교통 혼잡을 막기 위해 공공기관, 학교 시차제 출근도 시행할 계획이다. 대중교통뿐 아니라 택시나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택시 부제, 승용차요일제, 버스전용차로 해제도 시행한다.
또한 시는 이병진 행정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1일 오후 긴급 비상수송대책회의를 개최해 비상수송대책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 파업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비상수송차량 등이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부산시 행정지원 지역담당관, 교통국 직원 등을 총투입하는 등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가급적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단협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우리 시는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다”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추진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시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