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권 국민의힘 창원시장 예비후보는 창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S-BRT를 즉시 취소하고 TRAM(트램, 노면전차)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송 예비후보는 창원시가 584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S-BRT는 보조 교통수단으로서 대중교통과 연계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인구 100만의 도시에서는 장래 교통계획이 될 수 없다고 피력했다.
또한 혈세만 낭비하고 두 번의 공사기간 동안 시민불편만 초래할 뿐 아니라 이를 다시 철거하고 그 위치에 결국 트램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국민혈세와 행정적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음부터 트램으로 계획해야 한다고 했다.
송 예비후보는 창원시가 버스 분담률이 23% 수준으로 10명 중 2명만 버스를 이용하는 창원시에 간선급행버스 도입은 재검토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송 후보에 따르면 창원시가 1단계로 도계광장에서 가음정사거리까지 9.3㎞를 350억원을 투자해 올해 하반기에 착공한 후 2023년 6월 개통, 2단계로 3․15대로 8.7km구간 등 총 18㎞ 구간에 58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원이대로 9.3km 구간에 대하여 10월까지 경찰서 교통안전심의와 경남도의 실시계획승인을 받았고 11월부터 내년 3월까지 공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S-BRT는 주로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 전체 또는 도로 중앙에 버스만 다닐 수 있는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운행하는 시스템으로 신호교차로 대기와 전용차로의 불연속성 및 교차로 입체화, 폐쇄형 정류장, 사전 요금 지불 체계, 자동 운행 및 정밀정차가 실현되지 않아 편의성 저하와 전체 교통인구의 약 25%에 달하는 교통약자의 수평승하차(No step entrance)가 불가한 점 등은 세계적으로 기술면에서 완전 해소되지 못한 한계가 있어 검증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에 TRAM(트램)은 전용선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와 도로를 운행하는 BRT의 특성과 장점을 두루 갖춘 교통수단으로 서울, 부산, 인천, 대전, 경기 등 5개 시도는 총 18개의 트램 노선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는 등 도입추진을 본격화하고 있고, 유럽, 북미 등 선진 50개 국 389개 도시에서 2304개 노선을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TRAM(노면전차)은 유연한 교통수요 처리, 승차감이 우수한 고품질의 교통수단, 친환경 시스템으로 수소연료전지 동작 과정에서 공기정화 기능이 있어 차세대 친환경 모빌리티, 저상형 트램의 정밀정차 및 자동운행으로 휠체어, 유모차, 노약자 등의 편리한 수평승하차로 교통약자의 편의성이 크게 확보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버스, 승용차 위주의 도시에 멋스러운 트램 전동차가 달리게 되면 도시 가치 상승은 물론 노선 자체를 친환경 녹지로 조성하여 도시미관 향상과 환경개선을 가져올 수 있고 초기 공사비가 지하철의 6분의 1 수준으로서 공사비 및 운영유지비가 저렴하다는 것을 주장했다.
특히 창원시는 중장기 계획으로 마산역에서 진해구청까지 수소 트램 3개노선 66.5km, 1조 1,653억 원 계획을 수립해놓고 있음은 물론, 지난해 9.14 대선후보들에게 수소트램 도시철도사업을 공약에 포함시켜 달라고 건의한 바 있다고 밝혔다.
송병권 예비후보는 트램은 주 교통수단인 반면 S-BRT는 보조교통수단으로서 인천 같은 경우 기존 S-BRT 계획을 트램으로 변경한 이유를 파악할 것을 요청했다.
S-BRT를 설치하였다가 가까운 장래에 철거하고 TRAM(트램)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고, 584억 원이라는 막대한 혈세만 낭비함은 물론 두 번의 공사기간 동안 시민불편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또한 인구 100만 도시에서는 S-BRT만으로는 장래 교통계획이 확보될 수 없으므로 계획된 S-BRT 계획을 철회하고 조속히 TRAM으로 계획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송병권 국민의힘 창원시장 예비후보는 토목직 공무원으로 경남도청, 창원시청, 진주시청, 고성군청, 의령군청에서 39년 6개월 근무했다.
경남도청 도시계획계장, 도시계획과장, 감사관, 진주시 부시장을 2번 지내면서 면장, 건설과장 등 읍면동에서부터 부시장과 도청 국장까지 실무 행정을 두루 거쳤다.
퇴직 후 창원문성대학교에서 3년8개월간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는 부산대학교 겸임교수로서 현장 실무와 이론을 융합한 정통 전문 지방행정가이자 도시전문가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