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을 두고 야권 대선 후보자들이 비판을 쏟아내자 송철호 울산시장이 직접 해명 기자회견을 열고 반박에 나섰다.
송 시장은 2일 오후 울산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의 백년대계 사업이 이렇게 폄훼당하는 것을 보고 거대한 자본을 투자하려는 국내외 투자사들이 얼마나 불안해할까를 생각하면 모골이 송연해지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https://cdn.pressian.com/_resources/10/2022/03/02/2020061008360619266_l.jpg)
이는 지난 2월 19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울산유세 과정에서 "왜 울산 앞바다에 어민들과 시민이 반대하는 풍력발전을 하는 것인가"라며 "풍력발전에 공사하청을 누가 받았는지 울산시민들이 더 잘 아실 것으로 생각한다. 비즈니스 공동체, 이권 공동체다. 민주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은 핵심지지층 아니면 저런 사업에 낄 수 있는가"라고 발언한 것이 문제가 됐다.
송 시장은 지난 2월 25일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에서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 관련 GIG-Total 등 6개 사의 발전 허가를 기정으로 투자사 중 한 곳이 울산 사무실도 개소했고 인재들을 채용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이같은 주장은 사업 추진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국민의힘 울산시당이 낸 논평을 보면 그 근거가 ‘울산시의 사업계획’인데 출처 불명 자료입니다. ‘부유식해상풍력 환태평양 조성’이라는 제목도 틀리고, 국비 9250억 원, 민자 36조7188억 원 이라는 예산액은 어디서 나온 것인지 궁금하다"며 "이 사업에 부정한 이권 개입이 있는 것처럼 말하는 저의가 심히 의심스럽다. 근거가 없는 가짜뉴스일 뿐이다"고 일축했다.
또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부유식 해상풍력에 대해 '실험단계'라고 말한 것을 두고는 "제대로 모르고 한 연설"이라고 비판하면서 "사업타당성 측면에서 볼 때 조만간 닥쳐올 탄소국경세의 파고에 부유식 해상풍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수출국가인 대한민국은 이제 재생에너지가 아니면 수출경쟁력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고 반박했다.
특히 "부유식해상풍력의 핵심기술은 부유체의 설계, 제조, 조립, 운송, 설치다. 적당한 바람에 수심 1km에 달하는 해상에 부유체를 설치하고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는 울산이기 때문에 수많은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는 것이다"며 "결론적으로 울산의 부유식해상풍력사업은 기술종속 아니라 기술활용이자 수출선 확보에 따른 세계시장 선점의 전진 기지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송 시장은 "탄소제로,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는 시대에서 과거와 같은 산업 방식은 필패일 수밖에 없다"며 "울산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정쟁으로 끌어들이는 일에 반대하며 이를 통해 지역 내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일이 없기를 정치권에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