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을 위해 더불어민주당이 유치계획서에 대선 공약을 통해서라도 구체적 명분과 이행방안을 마련할 것을 국민의힘에 촉구했다.
민주당 중앙선대위 미래경제위원장인 이광재 의원은 16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상자산 공공거래소 설립 등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을 위한 미래비전을 제안했다.
이번 제안의 주요 내용은 부산 블록체인 특구에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 거래를 위한 공공거래소를 설립, 민간의 자율 거래 허용 전 단계에 거래 구조, 참여자 범위, 거래지원 서비스 등 표준을 정립하자는 것이다.
이 의원은 "전세계 가상자산 시장 규모만 3600조 원이고 참여자가 10억 명을 넘어설 것"이라며 "가상자산 제도 부재는 글로벌 경쟁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제안 이유를 밝혔다.
공공거래소 설립은 공적 금융기관 또는 한국거래소(KRX) 등 공적기관이 단독 출자로 설립하거나 공공기관, 민간 금융기관, 가상자산 거래소 운영 기업이 공동 출자해 운영하는 방안으로 제시됐다.
특히 이 의원은 부산엑스포 유치계획서(비드파일, Candidature Dossier) 상 7조5000억 원 이상의 인프라 사업을 포함, 부산 인프라 확충의 국제적 명분과 구체적 이행방안 두 마리 토끼를 잡자고 제안했다.
국제박람회기구(BIE) 규정에 따라 유치경쟁국들은 2022년 5월까지 비드파일을 BIE 사무국에 제출할 의무가 있다.
비드파일은 BIE 사무국의 개최후보지 현지실사 기초자료로 회원국들에게 부산엑스포를 홍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채널이며, 국내외 개최 환경분석, 국가적 지원, 주제표현, 비용 및 재원조달 등이 포함돼야 한다.
이 의원은 “2018 평창올림픽의 경우 2011년 비드파일 제출 당시 원주-강릉 간 철도 등 4조 7천억원 대 수송인프라 사업과 관광객 숙소 정비 방안 등을 담아 국책과제로 이행된 바 있다”며 “가덕도신공항 연계 교통망을 비롯해 도심하천 정비 등 도심재설계 논의까지 담아 국가적 약속을 구체적으로 구현해내자”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가덕도신공항의 조기 개항과 주변개발예정지역 가용지 면적 확대를 통한 배후도시 건설, 동남권 초광역 철도망 구상, 서낙동강 도심하천 수변생태벨트 조성 등 유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미래비전을 제안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박재호 민주당 부산선대위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은 "부산을 위해서라도 구체적 내용 없이 하겠다라고만해서는 아무것도 안 된다"며 "시민들에게 어떻게 할 것인지 명확하게 여야 모두가 공약할 수 있어야 한다"고 국민의힘에게도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전략 구상안을 발표할 것을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