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2030세대가 '캐스팅 보트'로 부상되자 부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에 청년 중심의 토론을 제안하면서 정당간 2030표심을 노린 정책 대결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민주당 부산 2030 We:하다 선거대책위원회가 20일 오후 2시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의힘 부산시당 청년위원회에 토론을 제안했다.
![](/_resources/10/2022/01/20/2022012014370435269_l.jpg)
선대위는 지난달 16일 출범해 ‘이제 시작합니다’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우리가 간다메(간담회)’, 이재명 후보의 소확행 공약 피드백, 2030개 We:원해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선대위는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우리가 발 빠르게 움직일 동안 도대체 무엇을 했는가"라며 "부산 청년을 진심으로 생각한다면 그들의 삶을 뼈저리게 이해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시간을 보내야 했다. 부산에서는 선거를 설렁설렁 치러도 이길 수 있을 거라는 국민의힘 특유의 오만 DNA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건 아닌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힘 부산시당 선거대책위원회 청년위원회에 제안한다. 우리 2030 We:하다 선대위와 정책토론을 하는 건 어떻가"라며 "한참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자만심을 버리고 부산 청년을 위한다는 반성의 자세로 선거에 임하겠다면, 진정으로 부산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당은 어디인지 토론해보자. 차일피일 미루지 말고 당당히 나와주시길 강력히 요구한다"고 제안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 청년위원회도 '청년 표심' 공량을 위해 민주당 청년 대표들에게 토론 배틀을 제안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윤석열 대선 후보의 청년 정책이 이재명 후보보다 우위에 있다는 점을 부각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최주호 국민의힘 부산시당 청년위원장은 <프레시안>과의 전화통화에서 "각 정당 후보들의 정책도 있고 현재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여가부 폐지, 젠더 갈등 등을 토대로 정당을 떠나서 청년들끼리 허심탄회하고 심도 있게 토론하는 자리를 만들겠다"며 실질적인 토론 날짜와 시간, 주제는 추후 논의 과정을 거치겠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