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 코로나19 방역정책의 정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7일 공개한 '감염병 장기화 시대,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코로나19 확진자의 70~80%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데, 이는 수도권 인구(전체 절반가량)을 고려해도 비중이 크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인구 밀집도와 지역 간 이동 빈도 때문으로, 이에 정부는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 더 강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시행해 왔다.
문제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국민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경제적 손실이 누적됨에 따라 정부의 방역 정책 수립 시 경제, 자유, 방역이 상충해 '딜레마'를 넘어선 '트릴레마'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원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하고 신뢰성 높으며 세밀한 수준의 대응 정책을 펼치자고 주장했다. 정책 수립의 근거를 데이터로 투명하게 보여줘 정당성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는 동시에 세분화된 거리두기로 경제적 손실을 낮출 것을 제안했다.
김영롱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근무형태 및 이동패턴의 실험을 했고, 이는 고스란히 빅데이터로 남았다”며 “지난 2년간 다양한 정책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및 정책 사후 평가를 거쳐야 향후 수립될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