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거성(63)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이 오는 6월 치러지는 경기도교육감 선거 출마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전 수석은 12일 경기도교육청에서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를 열고 "아직 대선 일정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 공식적인 출마 선언은 어렵지만, 주변의 강력한 출마 권유가 잇따르면서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도교육청에서 감사관으로 근무했던 그는 "감사관 재직 당시 초지일관 관심을 가졌던 것은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는 것이었다"며 "이 과정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소위 ‘감사 사각지대’에 있었던 사립유치원을 ‘감사의 영역’으로 이끌어 낸 변화"라고 자평했다.
이어 "당시 사립유치원 문제가 사회적으로 여론화됐고, 결과적으로 ‘유치원3법’ 개정으로까지 이어지는 성과가 있었다"며 "급식과 관련해서도 직접적 또는 우회적 방법으로 제조사에서 뇌물을 받는 사례가 있었는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프로그램을 통해 급식의 투명성을 증진시켰다"고 덧붙였다.
또 "특히 시민감사관제도 도입 등을 통해 감사 및 처분의 균질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학교민주주의지수’를 제안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도교육청에 근무하면서 마지막으로 제안했던 것은 ‘4·16민주시민교육원’ 건립으로, 그 개념과 작명 과정에 참여한 것을 비롯해 직접 4·16가족협의회를 찾아 설명과 대화를 통해 결과를 이끌어 냈다"고 전했다.
차기 교육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과 과제에 대해서는 ‘학생중심 정책’과 ‘소통’을 꼽았다.
그는 "도교육청의 기조인 ‘단 한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말이 구호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학생의 능력과 조건에 맞도록 지도해 기초학력이 공교육 안에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며 "지금까지는 행정이나 교사 또는 학부모의 영역이 학생들보다 더 우선적인 위치에 있었는데, 앞으로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환경적 요인 등을 세밀하게 살펴 진정한 의미의 학생중심 교육이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교육감이 만능이거나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다 보니, 보다 더 소통하며 네트워킹의 허브 역할을 통해 교육청에 ‘더불어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돼야 한다"며 "근본적으로 소통과 적재적소에 알맞은 인력 배치 등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일할 것인가에 대한 차별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교원업무의 행정실 이관을 골자로 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학교업무 재구조화’ 정책을 예를 들며 "해당 문제는 근본적으로 교원의 업무를 행정으로 떠넘겨 해결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교사의 업무와 행정의 업무 모두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 관행들을 감축하는 것을 전제로 한 ‘업무의 효율적 배분’이 논의돼야하는 사안으로, IT시대에 아날로그식 행정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전 수석은 "과거의 경기교육이 대한민국 교육계를 선도했던 것처럼 앞으로의 경기교육도 우리나라 교육을 선도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오랜 시간 ‘한국투명성기구’에서 활동하며 소통과 네트워킹을 통한 협업 활동을 해왔던 경력과 교육감의 역할이 서로 맞아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대선이 마무리된 뒤 정확한 출마 여부를 밝히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