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악화로 부산지역 숙박 및 음식점업은 대부분 대출 이자 상환 능력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가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부산 업종별 한계기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부산의 제조업, 서비스업 생산과 수출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재무상황 악화로 한계기업이 크게 증가했다.
한계기업은 외부의 자금 지원이 없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경영정상화가 어려워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으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인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이다.
2020년 기준 부산의 한계기업은 전체 기업 대비 19.0%로 2019년 15.9% 대비 3.1%p 증가했다. 2020년 전국의 한계기업은 16.9%로 부산의 한계기업이 전국대비 2.1%p 더 많다.
부산의 한계기업 매출액은 2019년 1.1% 증가했으나 2020년엔 전년대비 12.9% 감소했다. 정상 기업은 2019년 매출액이 전년대비 0.1% 증가했으나 2020년엔 8.3% 감소했다. 정상 기업보다 한계기업의 매출액 감소율이 4.6%p컸다.
한계기업 증가는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건설업 등 전체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았다. 특히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52.9%로, 절반을 넘어섰고 코로나19 이후 숙박 및 음식점업 대부분이 이자 상환 능력이 없을 만큼 부진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정 경제동향분석센터 분석위원은 “부산은 전국대비 한계기업 비중이 더 크고 코로나19 이후 한계기업의 매출액 감소도 전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어 한계기업의 도산 가능성이 증가한 것 같다”며 “이번 현황 조사는 외감법인이라는 규모가 있는 기업을 중심으로 조사한 것으로 그 외 중소기업과 자영업 재무 상태는 더 심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