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코로나19 변이(B.1.1.529)인 오미크론(Omicron) 공포가 세계를 덮치고 있다. 아직 발견 초기라 정확한 전파 위력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각에서는 델타 변이보다 확산세가 빠르다는 평가가 나왔다.
오미크론이 순식간에 아프리카 대륙을 넘어 유럽에 상륙하자 추가 확산 우려로 인해 세계 증시가 출렁이는 등 혼란도 함께 번지고 있다.
27일 오후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관련 관계부처회의를 열어 국내 대응방안을 정리했다. 방대본은 해당 논의를 바탕으로 28일 0시부터 남아프리카공화국, 보츠와나, 짐바브웨, 나미비아, 레소토, 에스와티니, 모잠비크, 말라위 등 8개국을 방역강화국가, 위험국가, 격리면제 제외국가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이들 나라를 대상으로 항공기 탑승 제한과 입국 과정에서 임시생활 시설격리, 유전자 증폭(PCR) 검사 강화 등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남아공 등 8개국을 경유해 한국으로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은 탑승 수속 과정에서 항공이 탑승이 제한되고, 탑승 후 국내에 들어오더라도 입국이 불허된다.
아울러 이들 8개국에서 온 내국인은 예방접종여부와 관계없이 10일간 임시생활시설 격리 대상이 된다. 국내 도착 전 PCR 음성확인서 소지 여부를 확인한 후 입국 1일차, 5일차, 격리해제 전 각각 진단검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방역강화국가로 지정될 시 비자발급이 제한되고, 위험국가로 지정될 시에는 이들 국가에서 입국한 내국인은 임시생활시설에 우선 격리돼야 한다. 격리면제 제외국가로 지정될 경우 국내예방접종완료자도 격리 대상이 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지난 9일 남아공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새로운 코로나19 변이다. 현재까지 남아공 77건, 보츠와나 19건 등 약 100여 건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확인됐다. 아직 발견 건수로는 크게 확산했다고 보기 어렵지만, WHO는 27일 새벽(한국시간 기준) 오미크론을 주요 변이(Variant Of Concern)로 지정했다.
이처럼 신속하게 오미크론이 감시 대상이 된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이 변이의 변이 계통이 새롭다는 점과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60%가량 강한 델타 변이도 능가할 정도로 강력한 확산력을 가졌을 수 있다는 우려가 그것이다.
계절적으로 여름에 들어가는 남아공에서는 지난 7~8월의 델타 변이 유행이 8월 말을 기점으로 빠른 속도로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11월을 지나면서 요하네스버그를 주도로 하는 하우텡주에서 대규모 집단 감염이 나타났고, 행정수도인 프리토리아에서 대학생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다시 속출하기 시작했다. 급기야 확산세가 빨라지면서 이들 감염재생산지수가 한때 2를 넘기도 했다. 한국의 방역 상황을 고려하면 감염재생산지수 2가 얼마나 강력한 확산세인지를 바로 짐작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안젤리크 쿠체 남아공의사협회장이 프리토리아의 코로나19 확진 일가족 4명으로부터 새로운 증상을 확인해 지난 18일(현지시간) 보건당국에 이를 알렸고, 새로운 변이임이 최종 확인됐다.
해당 의사에 따르면 이들 확진자 상당수가 극심한 피로를 호소했고, 맥박수가 아주 높게 올라가는 이도 있었다. 반면 코로나19 감염의 대표 증상으로 알려진 미각이나 후각 상실자는 없었다.
이 새로운 변이(B.1.1.529)의 유전체서열은 기존 주요 변이 루트인 알파~델타 변이 계열로부터 독립적으로 변이가 일어났다. 가장 큰 특징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유전자 변이 32개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형태로 인해 '코로나(왕관)'라는 별칭이 붙듯, 코로나 변이는 돌기 형태인 스파이크를 통해 감염 전파를 일으킨다. 이 스파이크에 다양한 돌연변이가 있다면 앞으로도 이 계열 변이는 더 크고 잦은 변이를 일으킬 확률이 덩달아 커진다. 아울러 백신 회피 가능성도 커진다. 특히 중요한 건 스파이크에 돌연변이가 많을수록 PCR 검사로 잡아내기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국내에 보급된 PCR 검사법은 알파(영국), 베타(남아공), 감마(브라질), 텔타(인도) 등 4종인 반면, 오미크론 변이는 PCR 검사가 아니라 타깃유전체 분석 방식을 써야 한다. 새로운 변이 출현에 각국이 바로 공포에 휩싸인 까닭이다.
이와 관련해 방대본은 우선 오미크론의 해외 전파 상황을 감시하는 한편, 오미크론 S단백질 유전자를 분석하는 변이 PCR 검사법을 개발하기로 했다.
여태까지 확인된 양상을 보면 그 전파력이 강력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변이는 순식간에 남아프리카 지역을 휩쓴 데 이어 곧바로 유럽으로도 번졌다. 외신에 따르면 이날까지 오미크론이 공식 발견된 나라는 보츠와나, 남아공, 홍콩, 벨기에, 이스라엘, 독일, 체코,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총 10개국이다.
하지만 실상은 이 정도 전파력을 가진 바이러스라면 이미 다른 대륙에도 번졌으리라는 전문가 의견이 지배적이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소장은 "이미 오미크론이 미국에 상륙했다고 해도 놀랍지 않다"고 27일(현지시간) 미국 NBC와 인터뷰에서 말했다. 아울러 파우치 소장은 여태 확인된 정보를 근거로 새 변이가 "전파력이 매우 강하다"며 "아프리카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입국 금지는 시간벌기에 불과하다"고 비관적 견해를 전했다.
이처럼 우려가 번지면서 주말을 앞두고 세계 증시가 크게 출렁였다. 미국 뉴욕증시가 2% 이상 하락했고, 이미 오미크론이 상륙한 유럽증시는 4% 빠졌다. 유가 하락률은 두 자릿수에 달해 국제유가는 배럴당 70달러대로 내려갔다. 대표적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가격도 7% 넘게 떨어졌다. 26일 한국 코스피도 1.47% 하락했다.
반면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값이 오르고 달러화도 강세를 보였다.
이 변이는 최종적으로 '오미크론'의 이름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중국발 압력 루머도 돌았다. 그간 WHO는 그리스 알파벳 순으로 변이 이름을 붙였다. 순서대로라면 '뉴(Nu)' 다음은 '크사이(Xi)'가 와야 한다. 당초 '오미크론'에 붙을 이름은 순서상 '누(Nu)'였으나 단어 '뉴(New)'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건너뛰었다. 다음에 나오는 단어 '크사이'도 건너뛰고 WHO는 바로 다음 단어인 '오미크론'을 최종 명으로 선택했다. 이를 두고 해외 여론을 중심으로 중국 국가주석인 시진핑(Xi Jinping)의 이름을 떠오르게 해서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WHO가 중국의 압력을 두려워한다는 주장은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한편 이와 별개로 오미크론의 위력을 지나치게 부풀리는 것도 아직은 곤란하다는 신중론도 강력하다. 일단 남아공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30%도 되지 않을 만큼 낮아,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한 확산세가 접종률이 높은 다른 나라와 다른 배경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미크론이 기존 주요 변이와 다른 계통으로 변이가 일어난 것을 두고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환자로부터 해당 변이가 일어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초기에 제기됐다. 그러나 꼭 HIV 감염자가 아니라도 다양한 원인으로 면역 저하는 일어날 수 있고, 이를 통해 변이가 가능한 만큼 지나치게 원인을 추론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신중론이 시간이 지나면서 힘을 얻고 있다.
특히 델타 변이 초기 대응에 늦었던 인도와 달리, 남아공 정부가 빠른 대처로 오미크론을 보고함에 따라 각국이 사태 초기부터 신속히 이에 대응하고 나선 건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할 부분이라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 결국, 아직 시간이 더 지나야만 이 변이의 실체가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