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유해물질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영·유아의 공간인 유치원, 어린이집 등 유아기관 94.1%가 '녹색구매'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녹색구매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녹색제품을 구매하는 소비패턴을 의미한다.
경기연구원은 올해 5월 도내 유치원·어린이집 533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녹색구매로 어린이를 지키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먼저 환경안전을 위한 녹색구매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94.1%가 '필요하다'(매우 필요 61.5%, 필요 32.6%)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0.2%에 불과했다.
녹색구매 필요성(중복 응답)으로는 유해물질을 줄여 사용자(어린이) 건강에 도움(79.9%), 오염된 환경 개선(75.5%)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실제 녹색제품 구매율이 '30% 초과 40% 이하'가 2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50% 초과'는 17.4%에 그쳤다. 나머지는 △5% 초과 20% 이하(17.8%) △40% 초과 50% 이하(17.6%) △20% 초과 30% 이하(15.6%) △5% 이하(9.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기관들은 녹색구매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복수 응답)으로 '예산지원'(76.4%)를 우선적으로 꼽았다. 이어 △정보제공 65.9% △법·제도 마련 36.8% △영수증 처리를 비롯한 편리한 회계문서 작성 28.3% △친환경성과 평가체계 마련 21.6% 등을 제시했다.
제도적 개선점(복수 응답)은 △관련 정보제공과 적극적인 홍보 63.8% △전문가를 통한 환경안전 및 녹색구매 교육 61.7% △녹색구매 인센티브 47.3% △환경안전관리 및 녹색구매 실습 32.3% 등의 순을 보였다.
제품 유형별로는 활동공간의 친환경건축에 대해 95%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했으나 시설 개보수 시 친환경 마크 건축자재 사용 기관은 42.8%로 나타났고, 일반 건축자재를 쓰거나 잘 모르는 경우도 40.3%에 달했다.
영·유아 교재·교구의 유해성 저감을 위해 녹색구매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92.5%였으며, 녹색구매 증가 예상 품목으로는 블록류 58.7%, 문구 및 교육재료류 31.5%, 인형류 4.3%, 도서류 3.0% 순이었다.
연구원은 녹색구매 활성화 방안으로 공공 중심의 홍보·교육 지원을 위한 경기도 친환경생활지원센터 역할 강화, 녹색구매 가이드북(어린이용, 학부모용) 같은 콘텐츠 개발 등을 강조했다.
또한 신설된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을 녹색구매 활성화 정책 시행기관으로 지정하고, 경기도청과 경기도교육청 간 협력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정임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녹색구매 요구가 강한 소규모·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심으로 육아용품 녹색구매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유아기관 평가 때 녹색구매 사용표시제도와 연계해 녹색구매와 환경안전이 효과적으로 함께 조성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