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군사쿠데타의 주역이자 광주 시민 학살의 주범'.
23일 향년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전두환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현대사의 오욕으로 기억된다. 지난 달 26일 서거한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역사적 과오를 공유했지만, 말년의 행보가 둘의 역사적 평가를 크게 갈랐다. 자신의 잘못을 사과한 노 전 대통령과 달리 전 전 대통령은 마지막 순간까지 과오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1951년 노 전 대통령과 함께 육군사관학교에 11기로 입교한 후 육사 졸업과 동시에 군 생활을 시작했다. 1961년 서울대학교 학생군사교육단에서 교관으로 근무하던 중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육사 생도들을 동원하여 군부 지지 시가행진을 벌였고, 이를 계기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신임을 얻어 국가재건최고회의 비서관이 되면서 본격적인 '정치 군인'의 길을 걷게 됐다.
박 전 대통령 집권 이후 진급을 거듭하며 승승장구하던 그는 노 전 대통령 등 육사 동기들과 함께 비밀리에 군대 내 사조직 '하나회'를 결성했고, 박 전 대통령 사망 직후 하나회를 통해 12.12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군을 장악했다. 뒤이어 1980년엔 5.17 내란을 일으키며 헌정을 중단했고, 5.18 민주화운동을 유혈 진압한 뒤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에 올라 국정을 장악했다.
군사 정변으로 실권을 잃은 최규하 대통령이 사임한 후 제2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이 소집됐고, 당시 총 2540명의 대의원 중 2524표를 얻어 전 전 대통령은 제11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후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새 헌법을 통과시킨 후,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2대 대통령 선거(간접 선거)에 출마해 대통령에 당선되며 제5공화국을 출범시켰다.
임기 말이던 1987년에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인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시위가 더욱 거세졌고, 이를 불식시키고자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였으나 오히려 역풍이 일어나 6월 항쟁을 촉발했다. 결국 여당 대선 후보였던 노 전 대통령이 6.29 선언을 발표함에 따라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진행했고, 직접 선거로 선출된 노 전 대통령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고 퇴임했다.
퇴임 후엔 5.18 진압 책임과 재임 당시 비리 문제 등으로 인해 백담사에서 은둔 생활을 했고, 1995년에는 노 전 대통령과 함께 함께 구속기소되었으며, 반란수괴죄 및 살인, 뇌물수수 등으로 1심에서 사형, 2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1997년 제15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자신의 대선 공약에 따라 전 전 대통령과 노 전 대통령을 특별 사면했다.
2205억 원 추징금에 대해선 자신의 재산이 29만 원뿐이라며 납부를 거부해왔다. 노 전 대통령이 추징금을 완납한 것과 달리 전 전 대통령은 1000억 원에 달하는 미납 추징금을 납부를 거부했다.
특별 사면 이후 그는 자신의 과거를 뉘우치기는커녕 만행을 멈추지 않았다. 2017년엔 <전두환 회고록>을 통해 5.18을 '광주사태'로 표현하는 한편, 자신은 당시 발포 명령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또 5.18 당시 헬기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조비오 신부를 '거짓말쟁이'라고 비판해 결국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2018년부터 재판을 받았다.
재판 내내 불성실한 태도로 국민의 공분을 샀던 그는 1심에선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으나, 검찰과 전 전 대통령 측 모두 모두 항소하면서 항소심이 진행되고 있었다.
1심 재판을 받던 2020년까지는 비교적 건강한 모습이었으나, 2021년을 기점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급격히 수척해졌고, 악성 혈액암인 다발성 골수종 확진 판정을 받아 결국 법적 심판을 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