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학생들이 어른들의 일로 인해 피해를 입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요."
경기도내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10·20 총파업에 참여하면서 도내 일부 학교의 급식과 돌봄교실 등의 운영에 차질이 빚어졌다.
20일 경기도교육청이 파악한 도내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노조원들의 파업 참여 현황은 전체 3만7357명의 20% 수준인 7459명(오전 10시 기준)으로 집계됐다.
직종별 파업 참여율은 ‘학교급식 종사자’가 32%(1만5527명 중 5011명)로 가장 높았고, 이어 △초등보육 전담사 26%(2972명 중 757명) △특수교육지도사 18%(1138명 중 207명) △유치원 방과후 전담사 15%(1657명 중 253명) △그 외 교육공무직원 9%(1만6063명 중 10267명) 등의 순이었다.
이날 총파업에 따라 도내 학교들은 정상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도내 전체 2616개 교 가운데 84개 교(3%)에서는 급식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805개 교(31%)에서는 빵과 우유 등 간편식으로 대체 급식을 운영하는 등 정상적인 급식이 제공되지 못했다.
또 전체 1327개 초등학교 중 425개 교(32%)가 파업에 참여하면서 현재 운영 중인 2963개 돌봄교실 가운데 671개 실(23%)이 운영이 중단됐으며, 유치원 방과후(돌봄 포함) 수업도 35곳(전체 1243개 원 중 3%)에서 진행되지 않았다.
실제 도내 A중학교는 이날 등교한 685명의 학생(1학년 359명, 3학년 336명)을 비롯해 64명의 교직원의 점심식사를 위해 학교 측은 앙버터 모닝빵과 초코볼 빵, 주스 및 귤로 구성된 대체급식을 마련했다.
전체 9명의 조리종사자(조리사, 조리실무사) 가운데 6명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기존에 계획했던 짜장밥과 바베큐폭립, 주스, 깍두기, 크로와상 샌드위치 등으로 구성된 급식을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앞서 학교 측은 지난 18일 오전 ‘e알리미’를 통해 학부모들에게 교육공무직의 총파업 계획과 이에 따른 대체급식 제공 및 급식 식단 등을 안내하며 협조를 구했다.
그러나 낮 12시 40분부터 시작된 급식시간, 각 반별로 급식실로 이동해 대체급식을 받아 들고 자리에 앉아 식사에 나선 학생들은 곳곳에서 불만을 표출했다.
3학년 이모 군은 "평소 식사량이 있는데 양이 적어서 밥을 먹었는데도 배가 고프다"라며 "아침을 먹지 않고 등교하는 친구들도 많은데 빵으로 식사를 대체할 수 없어 학교가 끝나면 다시 밥을 먹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집에서 싸 온 도시락을 먹는 학생의 모습도 종종 눈에 띄었다.
계란후라이가 덮인 김치볶음밥과 사과를 싸온 3학년 김모 군은 "도시락을 싸와도 된다고 안내 받은 어머니께서 급식이 부실할 것을 우려해 도시락을 챙겨주셨다"라며 "대체급식 양이 많지 않아 도시락을 가져오지 않았으면 배가 고팠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학교 측은 "조리종사자들에게 총파업 참여 계획을 전해들은 뒤 즉각 여러 곳의 제빵업체에 연락을 하는 등 급하게 대체 식단을 마련했다"며 "기존 급식 단가와 동일하면서도 최대한 열량과 영양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와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 및 전국여성노동조합 경기지부 등 도내 3개 학교비정규직노조로 구성된 경기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 8월 10일부터 2개월여에 걸친 교섭에서 각 시·도교육청들이 주도하는 사측의 무성의와 무책임만을 절감했다"며 이번 파업에 동참했다.
이날 오전 수원교육지원청 앞에서 100여 명의 노조원이 참석한 가운데 항의 집회를 가진 연대회의는 임금교섭에 대한 교육당국의 적극적인 태도를 촉구한 뒤 ‘비정규직 철폐’ 등의 내용이 적힌 스티커를 정문에 붙인 후 서울에서 열리는 민주노총 집회 참여를 위해 이동했다.
이들은 △전 직종 기본급 9% 이상 인상 △근속수당 5만 원 인상 및 근속수당 상한 폐지 △명절휴가비와 정기상여금 등 복리후생 차별 해소 등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