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회찬 전 의원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노회찬 6411>(감독 민환기, 제작 명필름, 시네마 6411, 노회찬재단)이 오는 14일 전국 각지 메가박스 상영관에서 개봉한다. 노 전 의원의 3주기를 맞아 영화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작진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마음으로 완성된 영화를 봤을까.
<노회찬 6411>의 제작진 5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인터뷰했다. 첫째는 20대 중반의 나이로 처음 장편 다큐 영화 제작에 참여한 김지수 조감독과 조유경 조감독이다. 이들에게 영화 제작 과정은 이름 정도만 알던 노 전 의원의 삶을 알아가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시간이었다.
둘째는 영화의 제작자인 이은 명필름 대표이사와 최낙용 시네마 6411 대표다. 이들은 노 전 의원과 동시대를 살았고 진보정당 운동을 지지했던 사람으로서 노 전 의원의 삶을 반추하며 든 소회를 말했다.
셋째는 영화를 공동 제작한 노회찬재단의 김형탁 사무총장이다. 김 총장은 <노회찬 6411>을 보며 노 전 의원이 끊임없이 진보정당 집권을 위해 고민했다는 점과 그가 바라던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실천하겠다는 다짐을 더 깊이 새겼다.
<노회찬 6411>의 개봉을 앞두고 세 편에 걸쳐 영화는 물론 노 전 의원의 삶에 대한 3색의 이야기가 담긴 인터뷰를 싣는다.
<노회찬 6411>의 공동 제작자인 이은 명필름 대표와 최낙용 시네마 6411 대표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놓지 않으려 노력하는 영화인이다.
이 대표가 속한 명필름은 <접속>, <공동경비구역 JSA>, <건축학개론> 등 흥행작을 만든 제작사인 동시에 비정규직 여성 노동을 다룬 <카트>, 전태일 열사의 생애를 다룬 <태일이>를 만든 제작사다. 명필름 설립 전, 한국 최초의 노동영화 <파업전야>를 제작한 이력도 있다.
최 대표는 지난 20여 년간 영화사 백두대간에서 일하며 아트하우스 모모를 통해 독립영화, 예술영화를 주로 배급해왔다. 올해도 모모에서는 하청 노동을 다룬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가 상영됐다. 해고 노동자가 주인공인 <휴가>도 곧 상영 예정이다. 최 대표는 다큐 영화 <노무현입니다>의 제작자이기도 하다.
그런 두 제작자에게 <노회찬 6411>은 20대 이후 사회운동의 최전선을 떠나온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영화인 동시에 끝까지 최전선에 남아 싸운 노회찬과 수많은 노회찬들에게 바치는 헌사다.
지난 1일 경기 파주 명필름 아트센터에서 두 제작자를 만나 영화 제작 과정에 대한 이야기와 고 노회찬 전 의원의 삶에 대한 생각을 들었다.
이은 "노회찬 곁에는 비슷한 생각을 가진 친구들이 많았어요"
<노회찬 6411> 제작을 처음 추진한 사람은 이 대표였다. KBS PD 한 명으로부터 '방송국에 남은 영상으로 노 의원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볼 생각이 없냐'는 제안을 받은 것이 계기였다. 이 대표도 노 의원을 향한 그리움을 갖고 있었다. 한국 사회에 자신과 같은 사람이 많이 남아있기에 제작자 관점에서도 영화의 대중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마음이 동한 이 대표는 노회찬재단 측에 노 의원의 삶을 다룬 다큐 영화 제작을 제안했다. 재단은 흔쾌히 승인했다. 곧 최 대표와 민환기 감독이 합류했다. 첫 제안으로부터 두달여 뒤 <노회찬 6411> 제작 시민 서포터즈 모집을 신호탄으로 본격적인 영화 제작이 시작됐다.
제작 과정에서 기억에 남는 일을 묻는 질문에 이 대표는 영화를 공동 제작한 노회찬재단과 재단이 해온 평전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동시대에 노 의원과 비슷한 꿈을 꾸며 노동운동을 하다 이후 영화 일을 택한 자신의 모습이 비쳤던 탓일까. 이 대표는 기억에 남는 인터뷰로 서로를 생각하는 노 의원과 친구들의 마음이 담긴 장면들을 꼽았다.
영화를 만들며 새롭게 알게 된 노 의원의 면모로는 '진보정당 집권에 대한 강력한 의지'라고 말했다.
최낙용 "한국사회에서 노회찬과 노회찬들의 이야기는 소중해요"
최 대표는 1992년 대선 당시 백기완 선거운동본부에서 일하며 부산 영남지역 유세를 담당했다. 노 의원이 같은 시기 백 선본에서 조직을 담당했다는 사실은 영화를 만들며 구체적으로 알게 됐다. 둘은 한때 진보정치의 장에서 함께 일하던 동지였던 셈이다. 그런 최 대표에게 <노회찬 6411> 제작은 각별한 경험이었다.
영화 제작 과정에서 최 대표는 인터뷰 촬영을 따라다니며 인터뷰이 대부분의 이야기를 직접 들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일 자체가 좋았다.
인터뷰를 같이 하지 못할 때면 현장에서 있었던 일을 전해 듣기도 했다. 그 중에는 '도저히 카메라에 얼굴을 내밀 수 없다'고 해 필수인원만 참석한 상황에서 인터뷰를 했고 영화에는 목소리로만 등장한 이들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았다. 조현연 노회찬재단 특임이사와 노 의원의 동반자였던 김지선 여사다.
영화에 담긴 인터뷰 장면 중에는 인민노련에서 노 의원과 함께 활동한 최봉근 씨가 그의 죽음에 대해 '아는 것과 하는 것이 일치하던 사람이었는데 작은 불일치를 견디지 못한 것 같다'고 이야기하다 눈물을 비치며 말을 멈추던 순간, 노 의원의 초중등 학교 동창들이 '노회찬은 하고 싶은 게 정말 많았던 사람, 그 모든 일을 잘했던 사람'이라고 한 말을 마음에 남는 장면으로 꼽았다.
<노회찬 6411>을 만들며 최 대표는 자신이 운영하던 영화사의 이름을 '풀'에서 '시네마 6411'로 바꿨다. 지금 한국사회에 노회찬, 그리고 노회찬들의 이야기가 소중하고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였다.
"진보정치 생각하는 이들과 동시대인에게 권한다"..."노회찬 3년 탈상을 함께하자"
두 제작자에게 <노회찬 6411>의 개봉이 눈앞으로 다가온 지금 영화를 보러 올 관객과 볼까 말까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물었다.
이 대표는 <노회찬 6411>이 특히 두 부류의 사람들에게 요긴할 것이라고 했다.
최 대표는 노 의원을 그리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그를 진정으로 보내주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