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최초로 '지방자치단체 ESG 평가지수'가 나왔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5일 지방자치단체의 ESG 평가모델 구축에 나선 후 첫 결과물로 17개 광역(특별)자치단체의 ESG지수를 공개했다. 앞서 연구소는 지난 3월2일 국내 시총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ESG평가 지수를 발표한 바 있다. (관련기사 : 국내 시총 50개사 'ESG 평가지수'…최고평점은 SK하이닉스)
평가결과에 따르면 종합평점에서 S등급을 받은 광역자치단체는 없다. 하지만 세종특별자치시가 종합평점 82.68점·평가등급 A로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1위를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환경(E) 79.48점·B등급 ▲사회(S) 87.85점·A등급 ▲지배구조·행정(G) 82.95점·A등급을 받았다.
광주광역시(E:81.65점·A등급, S:81.40점·A등급, G:77점·B등급)는 종합평점 80.65점으로 세종시와 함께 평가등급 A를 기록했으나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경상남도(78.95점·B등급/E:76.80점·B등급, S:85.10점·A등급, G:75.10점·B등급) ▲전라남도(78.29점·B등급/E:80.88점·A등급, S:79.68점·B등급, G:69.75점·C등급) ▲경상북도(78.21점·B등급/E:76.18점·B등급, S:82.70점·A등급, G:76.55점·B등급)가 'Top 5'를 차지했다.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2개시(세종시, 광주광역시)만이 A등급을, 경상남도 등 13개 시도가 B등급을 받았고 부산광역시와 충청북도는 C등급을 받았다.
연구소는 지자체 ESG 평가를 진행해오면서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평가결과를 우선 발표하고, 226개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평가결과는 올해 하반기에 공개할 예정이다. 연구소의 이번 지자체 ESG 평가는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공시정보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데이터 및 정보는 정부 통계와 보도자료, 지자체 자체통계와 보도자료, 그리고 대외기관의 평가, 미디어 정보 및 지자체 홈페이지 등의 다양한 정보원천을 근거로 했다. 평가지표는 ESG 글로벌 이니셔티브(UN SDGs, GRI, ISO26000 등)가 지향하는 목표와 가이던스를 기반으로 지자체의 환경, 사회, 행정 전반에 대한 평가기준을 도출했다.
구체적으로 ▲환경부문은 단체장 의지, 기후변화 대응, 폐기물 관리, 친환경 생활, 정부합동평가 등을 통해 평가됐다. ▲사회부문은 단체장 의지, 보건 및 안전, 주거와 생활, 고용과 노동, 사회공헌, 복지 및 연구, 정부합동평가 등이 주요지표다. ▲지배구조·행정 부문은 단체장 공약, 재정건전도, 주민 및 여성참여, 대외평가 등이 평가요소로 구성됐다.
연구소는 "문재인 대통령이 ESG경영을 강조하고, 한국이 무디스 ESG 국가평가에서 1위를 기록했지만, 정작 지자체에서는 ESG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연구소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지자체 ESG 평가가 사회전반에 ESG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K-ESG' 모델구축에 좋은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간 기업에만 집중됐던 ESG가 지방정부에도 적용된 사례가 지역과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황영기 전 KB금융 회장은 지방자치단체 ESG 평가지수 개발에 대해 "획기적인 발상으로 국가 발전에 초석이 될 것"이라며 "향후에는 '중앙정부→지자체→기업'으로 이어지는 ESG 선순환 구조를 이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연명 전 청와대 사회수석은 지자체 ESG평가 지수 개발을 두고 "세계적으로 기업은 ESG를 쫓아가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정부 측면에서는 그렇지 않다"면서 "지자체에 ESG를 적용하는 것에 대해선 의미가 크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찬규 중앙대 교수는 이번 평가에 대해 "ESG가 고객들이 기업에 투자할 때 지수로 삼으려고 하는 것인데 이를 지방자치단체에 적용했다는 점이 대단한 용기이자 굉장히 큰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
심덕섭 전 국가보훈처 차장(전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실장)은 "ESG를 통한 지방자치단체 평가는 특화된 평가"라며 "차후에는 주민 만족도조사 등을 통해 지표를 보완하기 바란다"고 제안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