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시계밥 주러, 아픈 당신을 찾아갑니다...양창모 의사 방문진료팀의 하루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시계밥 주러, 아픈 당신을 찾아갑니다...양창모 의사 방문진료팀의 하루

[포토스케치] 춘천의 실험... 방문진료가 전국에서 시행된다면?

멈춘 시계에 밥을 주고 목마른 개의 물그릇에 물을 채워주는 일... 높은 문턱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고, 부실한 난간과 미끄러운 바닥을 살피는 일... 보이지 않는 글씨를 읽어주고, 먹지 않아도 되는 약을 골라주고, 끼니를 어떻게 챙길지 같이 고민하는 일... 사정을 듣고 그 마음에 공감하는 일...

어느 의료진의 얘기다. 춘천 소양호 일대의 30개 마을에서 노인들을 진료하는 양창모 선생의 방문진료팀은 주로 거동이 어려운 고령의 주민들을 찾아간다. 벌써 2년째. 약 타러 병원 갔다 오는 데도 꼬박 하루가 걸리는 산간벽지의 노인들에게 방문진료는 고맙고 절실하다. 당연히 '3분 진료'는 있을 수 없다. 충분히 대화하고, 청진기를 대고 몸의 소리를 듣는다. 진료 중에도 어디가 또 불편한지를 끊임없이 살핀다. 진료 외에도 그들의 생활 전반에까지 관심을 기울인다. 역시 인기는 높았다. 한 마을에서는 진료팀이 왔다는 소식이 퍼져 예정에 없던 방문 요청이 잇따랐다.

현재 이 진료팀은 소양강댐 수몰지역 일대의 주민들을 위해서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만약 이같은 방문진료가 전국적으로 시행된다면 어떨까? 공공의료 영역에서 말이다. 우선 '죽기 전 요양원 2년' 공식을 끊을 수 있다. 내 집에서 내가 가꾼 정원을 보며 떠날 수 있다는 얘기다. 고령층의 삶의 질과 존엄의 문제다. 지방의 공동화 해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은퇴자들이 귀촌을 망설이는 이유는 병원이 멀기 때문이다. 요양보호 시스템이 어느 정도 갖춰진 상황에서 의료 공백이 해소되면 귀농·귀촌이 꼭 어려운 일만도 아니다. 어디서든 가까운 보건소가 방문진료의 거점이 될 수도 있다.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사는 한국사회에서, 지방의 빈집이 급격히 늘어나는 지금,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이 시점에 공공의 차원에서 방문진료 사업은 충분히 고려할 가치가 있다.

비용이 문제일까? 양 선생의 진료팀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3명의 급여와 차량, 의료기기, 비품 등 모든 경비를 포함해 한 해 예산이 채 2억원이 되지 않는다. 물론 의료진의 유입을 기대하기에는 매우 적은 액수다. 그러나 예산이 더 커진다고 해도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은 전혀 아니다. 양 선생은 춘천의 경우 한 팀만 더 있어도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의사 양창모, 간호사 최희선, 케어매니저 정윤후. 단 세 사람과 차 한 대의 움직임은 단촐했다. 그러나 분명 크고 중요한 실험이었다. 이들의 하루를 사진에 담았다.

<관련 기사: '원격의료'가 말해주지 않는 것들... "방문진료가 우리의 존엄을 지켜준다">

▲ 양창모 선생은 2년 째 춘천에서 방문진료팀을 꾸리고 있다. 현재 '호호방문진료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지원을 받고 있다. 그는 공공의료의 영역에서 방문진료가 확대돼야 한다고 말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방문진료에서 어려운 점 중 하나는 약 처방이 안된다는 것이다. 주사 등의 진료는 가능하지만 약 처방만은 막혀 있다. 방문진료로 충분한 문진과 청진, 세심한 진료를 받을 수있지만 처방전을 받기 위해 노인들은 무거운 몸을 이끌고 병원을 오가야 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병원 갔다 오는 데도 꼬박 하루가 걸리는 산간벽지의 노인들에게 방문진료는 고맙고 절실하다. ⓒ프레시안(최형락)

▲ 방문진료팀이 한 팀 더 있다면 춘천 지역의 의료서비스 소외 지역의 어느 정도는 커버가 가능하다고 양창모 선생은 말한다. 비용은 국가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전혀 아니다. ⓒ프레시안(최형락)

▲ '들어주기만 해도 아픈 데가 낫는다'는 말이 있다. 충분한 소통과 마음에 안정감을 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미다. ⓒ프레시안(최형락)

▲ 거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살피기 위해 유모차를 잡고 걷는 연습을 같이 하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구불구불한 산길이나 비포장 도로가 많아 SUV차량을 이용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최희선 간호사. 상당한 친화력과 세심함을 갖췄다. ⓒ프레시안(최형락)

▲ 한국은 초고령사회(노인 비율 20%)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역 공동화도 빨라지고 있다. 이 시점에 의료서비스 소외지역을 위한 대책은 절실하다. ⓒ프레시안(최형락)

▲ 정윤후 케어매니저는 늘 뒤에서 관찰하고 필요한 일들을 빠르게 처리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한 마을에서 의료팀이 왔다는 소식이 퍼져 몇 집을 더 다녔다. 주민들의 호응과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프레시안(최형락)

▲ 물그릇에 시원한 물을 채워 준 최희선 간호사가 좋았는지 개가 배를 보이며 재롱을 피우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흙먼지를 일으키며 분주히 이동하는 방문진료팀 차량. 하루에 4~5 곳 정도를 다닌다. ⓒ프레시안(최형락)

▲ 양창모 선생은 환자의 공간에 들어가면 의사로서 그들을 가볍게 대할 수 없게 된다고 얘기한다. 그들의 공간에서 충분히 이해하고 진료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프레시안(최형락)

▲ 한국의 노인들은 죽기 전 약 2년간 요양원에 들어간다. 집에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꼭 요양원에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프레시안(최형락)

▲ 오늘의 방문진료가 끝났다. ⓒ프레시안(최형락)

▲ 늘 누워만 있던 할머니가 거동한 모습이 반가워 기념사진을 찍기로 했다. 가정의학과 전문의 양창모 선생(왼쪽), 최희선 간호사(가운데), 정윤후 케어매니저(오른쪽). 사진 촬영을 위해 잠시 마스크를 벗었다. 5명 모두 백신을 맞았다. ⓒ프레시안(최형락)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