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재개발 1단계 공공콘텐츠 사업에 제동을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에 대해 감사원이 특별 감사를 실시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상공회의소는 7일 항만재개발법에 의거 적법하게 추진 중인 북항재개발 1단계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에 대해 해양수산부가 나서서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으로 전환하려는 무리한 시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부산상의는 "순조롭게 추진 중이던 북항재개발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은 지난 4월초 해수부 내부갈등으로 인해 트램사업을 빌미로 감사에 들어가면서 관련 사업들이 사실상 2달 넘게 중단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으로 별안간 전환될 위기를 맞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재개발 1단계사업은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현 정부의 임기인 내년 상반기까지 완공을 위해 전력을 다해도 모자란 상황임에도 핵심시설이라 할 수 있는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의 진행을 중단시키고 최근 컨트롤타워인 북항통합개발추진단장마저도 석연치 않은 이유로 교체한 것은 해수부가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추진의지가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항의 핵심 관광인프라가 될 트램을 비롯한 공공콘텐츠 시설은 정부와 부산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2030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2023년 상반기 국제박람회기구의 현지실사가 예정되어 있어 관광콘텐츠 시설의 활성화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안하면 기한 내 완공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부산상의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최종 책임자인 해수부 장관의 사과와 관련자 문책, 공공콘텐츠 구축사업 재개, 무리한 법 해석으로 국책사업을 중단시킨 해수부에 대한 감사원 특별검사 등을 요구했다.
장인화 부산상의 회장은 "이번 공사중단 사태로 부산의 미래인 북항재개발과 엑스포 유치가 좌초된다면 지역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염원하는 부산시민들에게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주게 될 것이다"며 "해수부 장관이 결자해지의 자세를 가지고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관계자에 대한 일벌백계와 함께 중단된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을 즉시 재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