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이하 센터)는 ‘혁신’을 외치며 여러 공약들과 계획을 발표한 지 4개월이 지났지만 당초와 달리 “서비스 이용에 크게 달라진 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불평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센터는 전용차량 116대와 임차택시 91대, 총 207대의 차량을 운영 중이다.
특히 100대의 임차 택시를 운영할 예산을 확보하고도 91대만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 등급제가 폐지된 지난 2019년 이후 비 휠체어 이용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감당할 바우처 택시 도입은 하지 않은 체 이용수가 감소하고 있는 휠체어 이용을 담딩하는 센터전용 차량 촉탁 계약직 운전원들의 정년만을 연장해 왔다. 이는 이용수요증가에 전혀 반대로 운영해 이용자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19년 장애인 등급제 폐지 이후 전국 특광역시는 울산을 제외하고 전부 바우처 택시 제도를 도입해 비 휠체어 수요증가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 원장 취임 당시 약속했던 차량 수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하기로 한 바우처 택시도 취임 이후 도입을 위한 어떠한 행동도 하지를 않고 있어 이용객들의 비판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광주광역시와 비슷한 인구구조와 이용자 분포를 지닌 대전광역시의 경우 현재 전용 차량(89대/106명), 임차 택시(90대), 바우처 택시(155대)를 비롯해 총 334대를 운영하면서 취약시간대를 보완하기 위해 시간제 근로자 20명을 추가 투입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광주시는 대전광역시와 달리 문제의 해결을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으면서 질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교통약자 지원센터 민주노총 공공 연대 지부장 천재홍은 “비정상적으로 센터를 운영한 주체와 이를 방관한 주체가 반드시 밝혀져야 할 것이다”라면서 “센터의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는데도 잘못된 센터 운영을 바로잡는 데는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그 어떠한 것도 책임지지 않으려는 광주광역시가 근본적인 책임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현재 센터의 근본적 문제는 내부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광주시는 방관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센터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바란다. 광주시가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선다면 본래의 설립 취지에 부합될 수 있는 진정한 혁신을 이뤄낼 수 있도록 구성원들도 그 역할을 다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광주시 해당 상임위원장인 이정환 광주시 산업건설 위원장 또한 “무엇보다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구성원들은 센터 설립 취지에 맞도록 약자에 대한 배려와 서비스 정신을 가져야 한다”라며 “취지에 맞게 구성원들 간에 일치된 목소리가 나와야 한다. 조속한 시일 내에 조직 내 갈등을 극복하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지난 1월 취임한 정병문 센터장은 “현 상황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있다. 코로나 정국과 맞물려 이용자 추세가 급격히 변한 내용에 맞게 조직을 정비하고 체계적으로 대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