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용빈 의원이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코로나 비대면 시대를 맞아 높은 수익을 올린 C.P.N.D 회사(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회사)의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 국민 일상생활에서 데이터 소비가 미치는 경제적 부담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양대 플랫폼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매출·영업이익을 보면 10년 사이 네이버 매출은2.5배('11년 2.1조→'20년 5.3조), 카카오 매출은 약 10배('11년 4,213억→'20년 4.2조)에 달했다. 국내 모바일 데이터 전송량 역시 2012년 2만9천TB(테라바이트)보다 2020년 71만 2천TB를 기록하는 등 8년 전과 비교해 무려 25배 증가했다. 구글‧넷플릭스‧페이스북 등 국내 진출 해외 플랫폼 기업의 영업이익(약300~1400%↑) 또한 크게 늘었다.
코로나를 기점으로 비대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활용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기계발과 쇼핑, 외식, 여가, 금융 등 다양한 영역의 필수 인프라가 되고 있다. 특히 청년층과 신중년층의 자기계발과 생활복지 관련 데이터 사용이 증가하는 것이 불가피한 추세다.
이용빈 의원은 “이동통신사 3사의 경우 취약계층의 요금 감면을 제공하는 등 데이터 소비자를 위한 사회적 혜택을 점차 넓혀가고 있지만 여전히 소극적인 편”이며 “플랫폼기업의 경우도 100대 기업 중 사회적 책임지수가 최하위권에 그치는 등 비대면 소비활동 증가로 인해 높은 수익을 취하면서도 사회적 책무에 대한 고민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데이터 소비 중심사회로 진입한 현실에서 점차 가중되는 통신비를 더 이상 국민 개인의 문제로만 다뤄선 곤란하다”면서 “C.P.N.D 회사의 수익원천인 국민 소비자에 대한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 데이터 복지기금을 조성하는 등 정부의 새로운 발상과 고민이 요구되는 시기”라고 말했다.
또한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데이터 소비의 소외 없는 보장, 경제적 부담구조 개선을 위해 국민눈높이와 시대흐름에 맞게 통신비 방정식을 개선하여 데이터 복지로 확대될 수 있도록 통신비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후보자는 “국내 플랫폼 기업들의 역차별 요소가 없도록 충분히 살펴서 검토해 가겠다”고 답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