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업으로부터 수천만 원의 사기 행각을 벌이고 돈을 독차지하려던 공범으로 인해 소송전까지 벌어지면서 범행의 전말이 검찰에 들통났다.
부산지검 외사범죄형사부(신동원 부장검사)는 사문서위조·행사 등의 혐의로 B(62) 씨와 C(39) 씨를 구속기소 했다고 29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 2019년 4월 이메일 해킹 범죄조직원인 A 씨가 포르투갈 소재 기업의 이메일을 해킹해 마치 한국 업체 직원인 것처럼 행사해 B 씨 계좌로 물품대금 미화 6만3000불(한화 6900만 원 상당)을 B 씨의 계좌로 송금하도록 했다.
B 씨는 돈을 받자 이를 A 씨와 배분하지 않고 현금으로 전부 인출해 개인적인 용도로 모두 사용했고 출금 과정에서 기업 간 계약서 등을 위조해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A 씨는 돈을 회수하기 위해 지난 2019년 8월 국내 고소대리인 C 씨를 내세워 B 씨를 사기죄로 고소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C 씨는 회수 금액의 30%를 받는 조건으로 허위 서류를 제출하기도 했다.
특히 C 씨는 B 씨에 대한 고소 과정에서 A 씨로부터 필요한 추가 서류 제공이 늦어지자 미국 거주 지인에게 A 씨의 이메일 계정과 유사한 계정을 만들어 이메일을 주고받고 이를 경찰에 증거로 제출하는 등 계획적으로 문서를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포르투갈의 형사사법공조 요청에 따라 수사를 진행한 과정에서 A 씨와 B 씨가 범행 후 서로 자금 문제로 다투는 과정에서 개입한 C 씨의 범행을 모두 밝혀내기에 이르렀다.
검찰 관계자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국제무역거래 사건에서 변호사도 아닌 일반인인 C 씨가 고소대리를 한 점에 착안해 철저한 수사를 진행했다"며 "경찰에서 '기소 의견'으로 송치된 사기사건이 사실은 공범간 수익분배 과정에서 발생한 무고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국에 거주하는 주범 A 씨에 대해서는 미국 법무부와 국토안보수사국(HSI)에 공조를 요청하는 등 추적을 실시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