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중요 현안인 북항재개발 사업에 해양수산부가 제동을 걸고 있다는 비난이 제기되는 등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해수부는 지난 21일 설명자료를 내고 "국정과제인 부산항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을 2022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차질없이 수행하고 있다"며 "북항 재개발 사업지구 내 트램과 주요 공공콘텐츠 사업은 재개발 지역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업이므로, 자체 감사와 연계해 관련 법령에 따라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해수부가 북항재개발 1단계 공공콘텐츠 구축사업과 관련해 자체감사를 진행 중이고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획재정부와 협의가 필요하다는 등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을 중단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쇄도한 데 대한 해명이다.
특히 부산에서는 북항 트램, 부산항기념관, 복합문화공간, 공중보행교, 해양레포츠 콤플렉스 등을 건설하는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은 이미 지난해 12월말 사업계획 변경 승인 고시까지 된 상황임에도 해수부가 제동을 거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상황이다.
사업비와 관련해 기재부 협의가 필요한 것을 두고도 공공콘텐츠 구축사업비는 약 1700억 원으로 북하 1단계 총사업비 2조4221억 원의 7%에 불과해 항만재개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미한 사업에 해당되기 때문에 별도로 중앙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칠 필요가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도 성명을 내고 "적법하지 않은 사유로 중단되고 있는 공공콘텐츠 구축사업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북항재개발 사업은 부산의 미래인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는 물론이고 미래먹거리인 관광·마이스산업 활성화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업인 만큼 예정된 기한 내에 준공될 수 있도록 정부가 관련 사업에 적극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