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모임발 집단감염 확산세에 맞서 전북 전주와 완주 2개 지역에서 벌이고 있는 '멈춤 운동'이 확산 저지에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달 중순 '완주제약업체'와 '농기계업체 사적모임(전북 지인모임)' 관련 집단확진자들이 마구 쏟아져 나오자 보건당국이 역학조사를 진행하는데 있어 힘이 버거울 정도로 방어벽 쌓기에 곤혹스러워할 정도였다.
특히 전주의 경우에는 지난 15일부터 22일까지 8일 간 '49명'의 확진자들이 밀물처럼 등장한 것은 물론, 이 여파가 인접 지역인 완주로 넘어가는 모양세를 보였다.
심상치 않은 확산 바람이 불어닥치자 전주와 완주에서는 이른바 '멈춤'으로 대응전략을 세웠다.
먼저 전주시에서는 지난 23일 '긴급 멈춤' 주간을 선포하면서 시민들의 외부 활동자제를 간곡히 호소했다. 각종 사모임과 소모임, 동호회 활동 자제를 비롯해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타 지역을 방문하는 것도 아예 중단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장례식이나 예식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행사에 가급적 참여하지 말아 줄 것도 당부했다. 전주시가 선포한 '긴급 멈춤'은 오는 28일까지이다.
여기에 전주시는방역수칙 위반 업소에 대해서는 경고 없는 무관용 처벌 원칙을 세우고, 단 한번에 집합금지와 과태료를 부과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적용에 들어가기도 했다.
전주에 이어 완주군에서도 지난 25일부터 오는 31일까지 '공동체 멈춤운동' 기간을 설정한 뒤 지역 공동체 조직을 통해 최대한 활동 자제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있다.
그러나 완주의 경우에는 '외마디' 선포를 한 전주에 비해 상당히 조직적으로 '멈춤' 운동을 펼치고 있는 점이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주는 기자회견을 통한 선포로 협조를 구한 반면, 완주는 현재 활동 중인 436개의 주민 공동체와 교감하면서 이 운동을 이끌어내고 있다.
마을공동체가 112개를 비롯해 아파트 공동체(74개)와 지역창업 공동체(53개)는 물론이고, 140개의 일반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 15개, 사회적 기업 25개, 청년창업 공동체 17개 등의 조직체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어 '멈춤' 운동의 효력이 확진자 발생 억제에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전주의 경우에도 '긴급 멈춤' 전후로 확진자 발생 수가 대조를 보이고 있는 동시에 집단감염에 따른 n차 감염자 발생도 현저히 줄어든 양상이다.
지난 22일까지 확진자가 발생된 완주의 경우에는 '제약업체'와 인접 전주와 관련된 추가감염자가 '멈춤' 운동 시작 후 현재까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고 있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개인 또는 조직체 내에서 생활이나 지향점이 같거나 비슷한 사람이 두 명만 있다하더라도 멈춤 운동에 동참해준다면 '코로나19' 대유행 차단에 방패막이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