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세종시 건축물 시 출범 후 최초 보물 지정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세종시 건축물 시 출범 후 최초 보물 지정

전의 비암사 극락보전…다포계 팔작지붕 건축물 특징 역사·건축·학술적 가치 인정

▲세종시 출범 후 처음으로 보물로 지정된 전의면 비암사 극락보전 전경 ⓒ세종시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의 극락보전이 세종시 건축물 중 처음으로 국가지정 ‘보물’로 지정됐다.

세종시는 시 유형문화재 제1호인 전의 비암사 극락보전이 보물 제2119호에 지정고시됐다고 23일 밝혔다.

비암사 극락보전은 비암사의 주 불전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집의 형태를 띠고 있다.

다포계는 지붕 처마를 받치는 부재(部材)를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배치한 건축양식이다.

▲공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양란 전후 형식이 혼재된 면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17세기 중엽 공포 짜임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사례에 속한다. ⓒ세종시

또한 충남 서산시 개심사의 대웅전과 동일한 전면 3칸, 측면 2칸의 건축양식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2차례 전란을 겪으면서 이전의 전면과 측면 모두 3칸이던 건축양식에서 축소된 것으로 17세기 이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임진왜란 이전에는 사찰에서 대웅보전 등 주 불전을 전면 3칸, 측면 3칸으로 지었으나 1592년~1598년까지 이어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전란을 치른 후 사찰 경제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전면은 그대로 3칸을 유지했지만 측면은 2칸으로 축소되는 형태로 변형됐다고 밝히고 있다.

▲비암사 극락보전의 가구구조는 측면 2칸이면서 간살을 넣게 잡아 구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충량 3본을 사용해 해결한 독특한 기법도 보여준다. ⓒ세종시

특히 비암사 극락보전 내부에 있는 영산회괘불도(세종시 유형문화재 12호)를 수화승 신겸이 1657년(조선 효종 7년)에 10명의 승려와 함께 그린 것으로 알려져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춘희 시장은 “비암사 극락보전은 전란 이후 사찰경제가 축소된 시대상이 반영돼 있으며 분포면에서도 충남 서산 개심사 대웅전과 세종시 극락보전 각각 1채만 남아있는 흔치 않은 사례로 손꼽힌다”며 “이러한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서 역사, 건축, 학술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비암사는 창건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국보 제106호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에 씌여진 명문을 의역한 결과 ‘백제 왕과 대신, 그리고 칠세 부모의 영혼을 빌어주기 위해 절을 짓고 불상을 만들어 시납했다’는 기록과 ‘계유년과 해명법사’라는 기록이 있어 통일신라 초기인 673년에 창건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보물 제367호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 보물 제368호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 등 많은 유물이 출토돼 유서 깊은 사찰로 꼽힌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규철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김규철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