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가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 김진숙의 복직을 촉구했다.
인권위는 4일 성명서를 내고 "노사관계 문제를 넘어 과거청산의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짚었다. 최영애 위원장 등이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의 복직을 촉구하는 청와대 앞 단식 농성장을 찾은지 이틀만이다.
인권위는 "김 위원은 국가폭력의 희생자"라며 "해고노동자 김진숙의 복직은 단순히 개인의 명예회복을 넘어 인간 존엄성의 회복이자 우리 사회가 해결하지 못한 잘못된 과거에 대한 반성"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1981년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에 용접공으로 입사했다. 김 위원은 1986년 2월 노조 대의원으로 당선된 후 노조 집행부의 어용성을 폭로하는 유인물을 제작·배포했다는 이유로 3차례에 걸쳐 부산 경찰국 대공분실에서 고문을 당했다. 한진중공업 측은 이 기간 김 위원이 ‘무단 결근’을 했다는 이유로 해고했다.
인권위는 "김 위원은 해고된 후 35년간 복직투쟁과 노동인권 증진을 위한 활동을 이어왔다. 그의 삶은 우리나라 노동운동과 민주화 투쟁의 역사와 궤를 함께 한다"며 "김 위원의 복직은 군부 독재 시대에 자행된 국가폭력의 어두운 과거를 청산하고, 우리 사회를 좀 더 따뜻한 인간 존중의 사회로 변화시키는 보편적 인권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은 암이 재발해 치료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김 위원의 복직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 게 우리 사회가 얼마나 인권과 생명을 존중하는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임을 강조하고자 한다"고 했다.
인권위는 "김 위원의 복직은 종래의 노사관계 문제를 넘어 국가폭력이 야기한 과거청산의 관점에서 해결해야 한다"며 "35년 동안 일터로 돌아가지 못한 채 매서운 겨울 한파 속 도로 위에 있는 해고노동자에게 한진중공업과 주채권은행, 그리고 관련기관이 전향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과 열린 의지로 화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