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가 추진 중인 ‘환동해 복합컨벤션센터’가 ‘혈세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 있어 건립계획을 재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시는 지난 5월 지진 피해 및 철강산업 위기 극복과 환동해 해양물류관광 거점도시의 플랫폼 구축을 위해 컨벤션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컨벤션센터의 명칭은 ‘환동해 해양복합전시센터’로 오는 2023년까지 총사업비 1272억 원을 투입해 지상 3층, 건축면적 1만5746㎡, 연면적 4만7238㎡ 규모로 전시장(1만2631㎡), 컨벤션(7265㎡), 업무·부대시설(2만7342㎡) 및 주차장(500대) 시설이 영일대해수욕장 인근 북구 장성동의 옛 캠프리비 부지에 들어선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미 2018년 6월 센터가 들어설 옛 캠프리비 부지를 235억 원에 매입해 주차장 부지로 활용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지진특별법에서 규정한 지역 경제 활성화 사업에 컨벤션센터 건립을 포함시켜 국비 지원 방안을 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환동해 해양복합전시센터’의 국비 지원을 받기까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 후 행정안전부의 타당성 조사 및 지방재정투자심사 등의 절차가 남아있다.
울산시는 산업전시 및 컨벤션 수요가 연간 569건(전시 64건, 컨벤션 505건)에 이르는 수요조사 결과를 제출했지만 결국 지난 2014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결국, 울산시는 1678억 원의 자체 예산을 투입해 2021년 개관을 목표로 지난 2018년 울산전시컨벤션센터를 착공했다.
‘환동해 해양복합전시센터’의 적자운영에 대한 우려는 국비 지원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시·컨벤션 수요의 수도권 집중현상도 한 몫을 한다.
전국 16곳의 컨벤션센터 중 서울의 3곳(코엑스, 세텍, aT센터)을 제외한 13곳의 평균 가동률은 40~5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업계는 파악하고 있다.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70%), 경남 창원컨벤션센터(70%) 등이 선방하고 있을 뿐, 경북 구미컨벤션센터와 전북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는 30% 가량의 가동률을 보인다. 부산 벡스코 역시 가동률이 50% 대에 그치고 있다.
특히, 경북 지역의 전시·컨벤션 수요나 실적이 매우 저조해 경주시의 하이코와 구미의 구미코는 수년 째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고 시민들의 세금으로 운영비를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항시는 국비 지원이 무산되더라도 도비와 시비로 센터건립을 완료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시는 2021년 부족 예산 중 800억 원을 지방채 발행으로 충당했다.
이처럼 재정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포항시가 적자운영이 불가피한 ‘환동해 해양복합전시센터’ 건립을 적극 밀어붙이자 지역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 A씨는 “포항에 컨벤션센터 건립은 고작 몇 건의 국제회의와 전시를 하겠다는 유치한 발상으로 1200억이 넘는 혈세를 낭비하겠다니 기가 막힌다. 시민들은 코로나로 인한 불경기에 죽을 맛인데 포항시의 컨벤션센터 건립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혀 공감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환동해복합전시센타는이강덕 시장의 대표적인 '전시행정'센타로 남게 되며 매년 세금으로 시민들 등골을 빼는 것이 불 보듯 뻔한데 계속 추진을 한다는 것은 포항시민들에 대한 갑질행정 ”이라며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계획의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