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소재 한센인 집성촌 ‘천북 희망농원’에 정부 관계자와 지자체들의 협력으로 희망농원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지만 40여년 동안 방치한 경주시 행정에 질타에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희망농원은 1959년 경주시 성건동 소재 성락원 60여명과 1961년 경북 칠곡군 소재 애생원 200여명 등 260여명을 정부가 한센인 자활목적의 국가정책사업으로 경주 보문단지 내 경주CC 자리로 통합 이주시켰으나, 정부의 보문관광단지 개발로 1979년 강제 이주해 현재 한센인 등 112세대 주민 173명이 살고 있다.

희망농원 한센인들은 대부분 양계장 등 축산업을 주업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대부분 계사가 노후화되고 주변 비료공장 등으로 인해 축분에서 나오는 악취가 진동하고 축산폐수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 민원이 수년째 반복되어 왔다.
특히 침전조(정화조)는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며 빗물만을 신당천까지 옮기기 위해 설치된 우수관에 축산폐수가 흘러들어가 신당천을 오염을 시키고 있다.
이에 민원이 빗발쳐 1998년 희망농원과 경주시 에코물센터와 두 곳을 연결하는 300mm 오수관을 매립했지만 비가 내리면 부유물 등 유입량이 많아져 예비관로(900mm)를 통해 포항시민의 식수원인 형산강으로 흘러들어가 오염이 되면서 포항시민단체 등 민원이 빗발치며 수 십년간포항시와 갈등을 빚어왔다.

경주시 관계자는 “시설 현대화 등으로 사육환경을 개선할 시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되어 전체시설 개선 등의 사업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희망농원복지회에서는 매각을 원하는데 부지매입비로 900억을 요구해 시에서는 해결 방법이 없어 매년 침전조 청소비 등 지원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주시는 희망농원에 계분처리용 톱밥, 침전조 청소비, 친환경 악취저감제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원금은△2018년 1억 200만원 △2019년 1억 9900만원 △2020년 현재까지 2억 73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경주 한 시민은 “경주시는 희망농원 환경문제가 수년째 논란이 되고 있는데 매년 지원하는 지원금으로 재정사업을 하면 될 것을 정부에 책임을 전가하는 경주시 행정에 문제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경주시는 지난달 28일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주대영 대구지방환경청장, 지역 도·시의원, 희망농원 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관조정 현장실사 및 회의를 개최하고 희망농원 정주여건 개선 사업에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집단계사와 폐 슬레이트(1급 발암물질) 철거와 노후 침전조·하수관거 재정비를 위해 관계기관 역할조정과 국비 210억을 정부기관에 건의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