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폭우로 침수된 부산 초량 제1지하차도에 갇혔던 3명이 숨진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관할 지자체가 방재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국회의원 (광주 북구갑)이 13일 부산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전체 지하차도 45곳 가운데 초량 지하차도와 같은 U자형은 29곳이다.
이 중 진입차단설비가 설치된 지하차도는 9곳으로 31%에 그쳤고 그마저도 5곳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형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광안대교, 신선대 지하차도 2곳을 제외한 나머지 U자형 지하차도 27곳은 영상유고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라디오방송설비 등의 방재시설이 전무했다.
U자형 지하차도 특성상 집중호우 시 배수가 안 돼 침수확률이 높고 도로까지 2차 사고로 확대될 우려가 크다. 특히 침수재해 발생 시 진입차단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으면 차량의 추가진입에 따른 대형사고 위험과 고립된 시민들의 대피에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조 의원은 "이번 사고는 지난 2014년 집중호우로 침수된 동래구 우장춘로 지하차도에서 할머니와 손녀가 참변을 당했던 사고와 닮았다"며 "진입금지 알림 전광판은 정상작동을 하지 않고 진입차단설비와 비상 대피방재설비도 갖춰져 있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에서 발새한 이번 초량 지하차도 참사는 사전에 대비를 했다면 막을 수 있는 인재였다"며 "기상이변으로 집중호우, 장마 등의 수해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어 위험지역인 지하차도 피해를 막기 위한 필수 방제시설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