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화 상지대학교 총장은 “강원평화특별자치도 구상은 단순한 자치분권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를 제도화하면서 납북한 교류협력을 실질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정 총장은 6일 인제스피디움호텔 그랜드볼륨에서 열린 ‘강원평화특별자치도와 평화지역 발전’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기조강연 ‘한반도 평화전망과 평화지역 발전을 위한 우리의 자세’를 주제로 이같이 역설했다.

그는 “세상이 예측을 불허하는 속도로, 예상을 불허하는 다양성을 가지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코로나 펜더믹은 21세기에 기록된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 될지 모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코로나 상황에서 한반도의 분단을 생각한다. 한반도의 분단은 단순히 영토의 분절을 의미하는 중립적인 용어가 아니다. 그것은 5000년 민족사의 단절을 의미하며, 한국전쟁을 통한 수백만 동족의 살상을 의미하며 동포들 사이의 갈등과 대립, 반목, 불신의 상태를 의미하는 반민족적이고 반민중적이고 반민주적인 용어이다. 그런데, 벌써 분단 75년이 되었다. 우리가 얼마나 더 분단의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 총장은 “분단 75년을 경과하는 전환기적 상황에서 이제 강원도는 막중한 시대적 소명을 떠안는 주목받는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다음과 같이 강원도의 가치를 강조했다.
즉 ▲동북아 시대 주도권 확보로 시베리아 PNG인수 ▲강원철도의 TSR연결 ▲무역 2조 달러 시대로 가는 경제적 북극항로 전진기지 구축 ▲북한 광물자원의 남북 공공개발과 가공 ▲남북평화산업단지 개설 등을 꼽았다.
정 총장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지정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라며 “이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두 차례나 강원도 대선공약으로 강조했던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정대화 총장은 “앞으로 25년이 지나면 분단 100년이 되는데 분단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후세대에 물려줘서는 안 될 것”이라며 “화해와 협력, 평화와 통일의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강원도에 평화자치기능을 부여해야 한다”고 결론 지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