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관련 청와대와 군 당국의 '부실 대응' 논란과 관련해 '북측의 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사실관계를 충분히 확인한 것'이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8일 오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충분한 사실관계가 확인이 되어야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밝히는 한편 북측의 사과를 받아내고, 재발방지를 약속받을 수 있는 것"이라며, 이 사건에 대한 문 대통령과 청와대 대처가 늦어진 이유를 설명했다.
야권과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피살 시점부터 대통령 직접 대면 보고까지 10시간 가까이 걸린 점, 청와대 긴급회의에 문재인 대통령이 불참한 점, 국방부의 공식 발표까지 36시간이나 경과한 점 등을 지적하며 문 대통령과 청와대 대응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문 대통령의 행적 공개 요구까지 이어지자 반박 입장을 내놓은 것.
강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우리 바다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북한 해역, 우리가 볼 수 없고 들어갈 수도 없는 곳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라며 상황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그는 "단지 토막토막의 '첩보'만이 존재했던 상황"이라면서 "23일 심야 긴급관계장관회의에서 정부는 토막토막난 첩보를 잇고, 그렇게 추려진 조각조각의 첩보로 사실관계를 추론하고, 그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했다.
이어 "심야회의는 새벽 2시30분 끝났고, 사실로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6시간 뒤 대통령께 정식보고 됐다"고 했다.
그는 "대통령에 따르면 '사안이 너무도 중차대'했다"며 "거듭거듭 신뢰성이 있는 건지, 사실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건지" 확인이 필요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첩보 또는 정보의 정확성과 이를 토대로 한 사실 추정의 신빙성을 재확인하고, 사실로 판단될 경우 국민들에게 그대로 밝히고 북한에도 필요한 절차를 구할 것을 지시했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의 시간'은 너무 일러서도 안 되며, 너무 늦어서도 안 되는, 단 한번의 단호한 결정을 위한 고심의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또 "문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공식 입장을 표명하고, 관련 회의를 주재하는 일련의 과정은 바로 한반도의 위기관리를 위한 시간이었다"고 했다.
강 대변인은 지난 2015년 발생한 목함지뢰 사건 당시 언론 보도와 비교하기도 했다. 당시는 북측이 최고지도자가 이번 사건과 같이 사과가 아닌 단지 '유감' 표명을 했음에도 언론에서 후한 평가를 내렸었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언론 탓을 하려는 게 아니"라면서 "남북이 냉전과 대결구도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 같은 주장이 서슴지 않고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