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태백시 광역음식물 처리시설 반대투쟁위원회(위원장 김운성)는 9일 태백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음식물폐기물 광역화 처리시설 설치의 백지화를 촉구했다.
이날 반대투쟁위는 성명서를 통해 “대한민국 최고의 청정 고원도시를 자랑하는 태백시가 무엇이 아쉬워 동해와 삼척, 영월, 정선에서 수거한 음식물폐기물을 몽땅 들여와 악취와 환경오염을 유발시켜 주민과 지역의 피해를 스스로 재촉하는지 묻고 싶다”고 주장했다.
![](/_resources/10/2020/09/09/2020090911230416939_l.jpg)
이어 “특히 태백시는 하루 80톤에 달하는 엄청난 량의 음식물쓰레기를 5개 시군에서 반입 및 처리과정에 발생될 악취에 대해 주민설명회 등 소통조차 외면했다”며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진다는 헌법 규정을 태백시가 명백하게 위반하는 처사”라고 강조했다.
또 “음식물폐기물 광역화로 인해 지역과 주민들에게 어떤 피해가 발생할지 사전에 검토하고 철저하게 이해득실을 따졌어야 할 태백시와 이를 승인한 당시 태백시의회 의원들은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1999년 설치된 예량골 쓰레기매립장은 2019년 매립장 증설이후 강릉, 양양, 고성, 삼척의 소각용 쓰레기를 하루에 50톤씩 반입해 처리 중”이라며 “이런 상황에 하루 80톤의 음식쓰레기를 추가 반입하는 것은 청정 태백시를 쓰레기 중심도시로 만드는 처사”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투쟁위는 ▲주민협의체를 재구성 ▲동해시장은 해군사령부를, 삼척시장은 강원대학 삼척캠퍼스를, 영월군수는 법원과 검찰청을 태백시로 이전하고 정선군수는 고한읍과 사북읍을 태백시로 행정구역을 통합하라고 주장했다.
김운성 위원장은 “음식물폐기물 광역화 처리시설이 백지화 될 때까지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며 “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을 이번 기회에 막지 못하면 자손대대로 피해를 입게 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