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반대 희망버스의 주역인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한진중공업을 상대로 복직 투쟁 중이다. 김 지도위원은 지난 1981년 10월 1일 대한조선공사주식회사(현 한진중공업)에 대한민국 최초 여성 용접사로 입사해 1986년 2월 18일 노조 대의원에 당선됐다. 대의원 당선 직후인 그해 2월 20일 노조 집행부의 어용성을 폭로하는 유인물을 제작·배포했다는 이유로 3차례에 걸쳐 부산직할시 경찰국 대공분실에 연행돼 고문을 당했고 같은 해 7월 14일 징계해고됐다.
지난 2009년 11월 2일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 심의 위원회'는 김진숙 지도위원에 대해 '한진중공업에서의 노조민주화 활동을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부당해고임'을 분명히 하면서 복직을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사측은 이를 수용하지는 않았다. 김 지도위원의 복직을 기원하는 글 두 편을 <프레시안>에서는 싣는다. (관련기고 : 2011년 여름, 85호 크레인 위 하늘볕 모아 보냅니다)
찌는 듯한 더위와 갑작스러운 비, 매캐한 최루액과 거리를 뒤덮은 전경. 다 같이 행진하거나 혹은 뿔뿔이 흩어져 골목을 돌아가며, 노래하거나 춤을 추면서, 눈물을 흘리다가도 웃으며 향했던 곳. 우리는 왜 그렇게 공장 담벼락을 넘으려 했나. 2011년 여름의 부산, 영도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희망의 무지개 버스
나에게 2011년은 서울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으로 기억된다. 당시 광주와 경기도에 이어 세 번째 학생인권조례를 서울 시민들의 힘으로 직접 만들고자 주민발의 운동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민 1%인 약 10만명의 서명지를 모아야만 했던 활동가들은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길거리에서 서명을 받았고, 밤이면 사무실에 모여서 서명지를 분류하고 정리했다. 일상의 거의 모든 시간을 서울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에 쏟아부으며 도통 다른 사안에 신경 쓸 여력이 없었던 때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마음을 부산하게 만드는 일이 있었다.
같은 해, 부산 영도 한진중공업 크레인 위에서는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이 고공 농성을 진행 중이었다. 청소년 노동운동을 하면서도 정작 노동운동과는 알 수 없는 거리감을 느끼던 때이기도 했다. 그러나 SNS를 통해 생중계되는 일상을 접하며 투쟁의 대의가 아니라 투쟁하는 사람을 보게 되었던 순간, 치열하게 싸우고 있는 사람에게 더욱 마음이 쓰이게 되었다. 그렇기에 맨 처음 희망버스가 조직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내심 반갑고 고마웠다. 희망버스에 함께하려는 마음을 모은 다양한 영역의 인권활동가들이 무지개버스를 함께 준비한 이유이기도 하다.
무지개버스 기획단은 길거리 강연과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지만, 정작 현장에서 우리가 계획한대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다음 버스를 위한 프로그램 회의는 밤늦도록 이어졌다. 차벽 앞에 막혀 물대포와 최루액에 시달리며 밤을 지낸 뒤 내리쬐는 햇빛을 우산으로 피하던 낮, 결국 공장 담을 넘지 못했지만 전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김진숙 지도위원의 발언에 훌쩍이며 울던 그 때, 이 시간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으리라는 확신이 들었다.
연대의 감각, 우리의 몫
무지개버스를 준비하고 진행했던 시간은 전국에서 모인 희망버스 참가자들 사이에서 "청소년도 간다", "장애인도 간다", "성소수자도 간다", "이주민도 간다", "우리도 간다"고 선언했던 시간이었다. 이후 서울학생인권조례의 차별금지 조항에서 성소수자라는 단어를 삭제하려는 움직임에 맞선 서울시의회 무지개농성에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이 지지방문을 오기도 했다. '호모새끼'를 욕으로 사용하던 조합원이 '성소수자 동지들'을 반갑게 맞이하기까지, 수많은 부대낌과 어색한 침묵을 지냈다. 희망의 무지개 버스는 연대라는 조금은 낡아 보이는 단어를 새삼스럽고 생경하게, 또한 감동적일 만큼 생생하게 소환했다.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의 정리해고 반대 투쟁이 희망버스에 탑승한 모두의 간절함으로 이어지기까지, 김진숙 지도위원의 고공농성이 마중물이자 지렛대가 되었다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을 김진숙이라는 끈이 엮어냈다면, 기꺼이 서로 엮어진 사람들은 변화를 만들었다. 희망버스 이전과 이후에도 사람들의 분노와 움직임이 터져 나와 세상을 바꾼 시간을 우리는 경험해왔다. 더 이상 불안하고 불행하게 내몰리지 않겠다는 외침이 서로를 엮어내며 만들어온 변화이기도 하다.
최근 김진숙 지도위원의 복직 투쟁 소식을 듣고 어쩔 수 없이 희망버스를 떠올렸다. 그녀가 희망버스를 엮어낸 끈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희망버스가 우리 모두에게 남긴 연대의 감각 덕분이다. 35년간 한 번도 버린 적 없는 꿈, 정년이 아니라 복직을 원한다는 김진숙 지도위원의 말은 우리를 다시 호출한다. 그렇다면 이 부름에 응답하는 일 역시 모두의 몫일 테다. 김진숙 지도위원의 복직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몫을 고민하며 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