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유치원 수업일수 감축을 추진하는 데 대해 방과후교육사들이 반대하고 나섰다. 방과후교육에 의존하는 수업일수가 늘어나 결과적으로 교육사들의 업무가 가중되는 데다, 교육사가 담당해야 할 원생들이 늘어 코로나 방역에도 헛점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방과후교육사에 대한 충원 없이 수업 일수만 감축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24일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서울지부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수업일수 단축에 따라 늘어난 방학에 부족한 인력으로 아이들을 한 교실에 더 많이 밀집해 돌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소수의 방과후교육사와 강사 등이 돌봄과 교육 업무를 도맡게 돼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분산 수업 등이 이뤄지기 어려워 아이들의 안전을 더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유치원 방학기간에도 돌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방학기간에도 80%에 가까운 아이들이 등원하는 상황"이라며 "수업일수 단축으로 교사들의 방학은 확보해도 아이들의 건강은 확보하지 못한다"며 비판했다.
이들은 "방학 중에는 정규 교사들의 교육과정이 중단되지만 방과후과정은 오전부터 시작된다"며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아이들은 하루 종일 더 밀집된 유치원 생활을 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정규 교육과정은 한 교실의 수용 인원을 최대한 줄였지만 전담 인력이 부족한 방과후과정 교실에는 최대 30명까지 밀집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유치원은 121일만 수업하면 돼 유치원 방학이 평년보다 더 늘어난 69일이 됐다"며 "유아의 안전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업무 강도를 완화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앞서 교육부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유치원 대책으로 유치원의 법정 수업일수를 180일에서 121일까지 단축해 운영할 수 있게 했다. 유치원 방학에 정규 교사들은 자율연수에 들어가 출근하지 않지만 방과 후 과정은 계속 운영된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전국 8785개 유치원 가운데 8741곳(99.6%)이 방과후과정을 운영했다. 방과후과정 이용율은 교육수요자 전체 67만 2000여 명 가운데 약 50만 명인 74.4%였다.
이들은 "코로나19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고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수업일수를 줄였다면 최소한 늘어난 방학 기간 동안 정규 교사의 대체인력이 배치될 수 있도록 예산 지원 등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