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연이틀 대북 강경 발언을 이어가며 북한에 대해 강공 모드로 전환했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문제와 관련한 직접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18일 강원도 춘천시 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기업인 더존비즈온을 방문해 디지털 뉴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대북 문제와 관련해선 한 발 물러선 모양새다.
청와대도 문 대통령이 전날 청와대에서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고유환 통일연구원장, 임동원·박재규·정세현·이종석 등 전직 통일부 장관, 박지원 전 민생당 의원 등을 만나 나눈 대화 내용을 소개하지 않았다.
청와대 참모들을 중심으로 북한에 할 말은 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도 문 대통령이 직접 북한에 맞대응 하는 방식은 피하려는 눈치다. 대남 '악역'을 맡은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달리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북관계 현안 발언을 삼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는 한편, 남북 관계의 최후 보루인 정상 간 신뢰의 끈을 유지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청와대는 전날 사의를 표명한 김연철 통일부 장관, 청와대 안보라인 책임론 등에 대해선 여전히 함구하고 있다. "인사권자가 결정할 부분"이라며 "결정되면 공식 발표하겠다"는 입장을 전날에 이어 18일 재차 밝혔다.
"디지털 뉴딜, '데이터 댐' 만드는 것"
남북 관계가 정부 출범 후 최악의 격랑 속에 빠져든 상황에서도 문 대통령은 이날 경제 일정을 챙기며 '평시 모드'를 유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더존비즈온을 방문한 자리에서 "디지털 뉴딜은 앞으로 디지털 경제 기반이 되는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라며 디지털 뉴딜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일정은 한국판 뉴딜과 관련한 첫 현장 행보다.
문 대통령은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다용도로 활용한다면 관련 산업이 생성되면서 한국판 뉴딜의 핵심인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데이터 댐에는 우리 공공과 민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이 되는 데이터들이 모이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가 원 데이터 자체로서는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표준화하고 서로 결합해서 가공한다"고 했다.
그는 "이것을 개인정보가 다 빠지게 보호되게 만드는 비식별 정보로 만들어내면 그것이 많이 활용될수록 더 똑똑한 인공지능을 만들어낸다"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것을 표준화하고 이것을 가공 결합하는 과정들은 전부 사람들의 작업에 의해 이뤄져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 생겨나게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를 살리면서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만들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이 선도형 경제로 나아가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최근 3차 추경을 통해서 디지털 뉴딜에 2022년까지 13조4000억 원을 투자해 33만 개의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오는 7월에는 디지털 뉴딜을 포함한 한국판 뉴딜 종합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