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과 안동민속박물관이 공동조사를 통해 90년 세월을 품고 있는 안동역에 관한 기록지 ‘그곳에 역이 있었네’를 발간했다.
경북 안동시 운흥동 안동역사는 복선전철 개통을 앞두고 오는 2021년 즈음 송현동에 신축되는 역사로 이전을 앞두고 있다. 이로 인해 안동역과 광장이 지니고 있는 시공간적 유무형의 역사가 사라지게 됐다.
이에 90년 운흥동 안동역사 시대가 종료되는 시기를 맞아 경북선 당시의 ‘경북안동역’ 영업개시부터 시작해 최근까지의 시대별 변천사, 기차역과 관련된 교통문화와 인물 발자취, 주요사건, 주요 사진 등을 기록지에 수록했다.
안동역 기록지 구성은 △안동역 연표 △안동역 등장과 변화 △안동역 기억에 대한 구술 △사진도록 등으로 묶여져 있으며, 시간대 별로 안동역에 대한 스토리를 풀어내고 있다. 대하소설 ‘변경’(이문열작가) 속에 등장하는 60년대 안동시내 풍경과 함께 지역사에 큰 충격을 준 대형사건(신하사 문화극장 수류탄 투척사건)에 대한 히스토리도 담아냈다.
또한 안동역에 근무했던 역무원, 보선직원, 소화물담당, 부부 근무자, 공안경찰 등의 구술증언을 통해 당시 무임승차, 소(牛)운송, 한국전쟁 등 철도관련 시대상과 생활상도 담아냈다.
지난 1931년 운흥동 낙동강변에 세워진 안동역은 근대 원도심 형성의 중심축이었다. 안동역은 경북선(1931.10.5. 김천~안동구간 개통)시대, 안동역사 증축공사(1936.5.27. 7만평용지 증축공사, 관사·철도공원 용지 4만5천평 매입), 경경남부선(중앙선) 건설안동사무소 설치(1936.8.) 등의 궤적을 지니고 있다.
이밖에 1942년 4월1일 경성~경주 전 구간 개통식이 안동역에서 치러졌으며,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중반까지는 안동철도국이 시대를 함께했다. 안동철도국은 중앙선과 영암선, 함백선, 충북선 구간의 53개 역을 관장하며 당당한 위상을 높였던 교통의 주요거점 기관이었다.
그 과정에서 행정기관, 금융, 상권, 교육 등 현재 안동 원도심이 형성되는 과정에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경북선과 중앙선 기차의 도착·발차 과정에서는 각종 사건의 주요무대이기도 했다. 근대시기 유일의 교통중심이자 이에 의존한 역세권이 형성된 생활사의 생생한 공간이었으며, 철도를 통해 안동은 경북의 교육중심도시로 위상을 갖게 되며 북부권 거점도시로의 성장을 거듭했다.
90년 세월의 운흥동 안동역사 시대가 끝나가고 있는 2020년 현재 우리는 ‘그곳에 안동역이 있었네’를 통해 사라져 간 과거형 사실로만 기억하기보단 추억으로 기록지를 마주하게 됐다. 빠트린 여백과 못다한 퍼즐조각은 추가조사를 통해 보완하길 기대해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