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회의에 앞서 박재규 경남대 총장은 “46년 전 냉전의 찬바람만이 휩쓸고 있던 황무지에 평화와 통일의 씨앗을 심는 심정으로 북한과 통일문제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를 설립했다.”며 “이 연구소가 통일부와 함께 오늘의 뜻깊은 행사를 주관하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주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은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주제로 발표하며 “농업, 에너지, 유통・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사회와 협력해야 한다”면서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통한 남북 경제협력의 안정성 및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한반도 신경제구상 실현을 위한 주변국 협력 방안’에 관한 발표를 통해 “한반도 신경제구상 실현을 위해서는 인프라・산업분야뿐 아니라 재원조달 및 기술지원 분야에서도 주변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1989년 이후 공적개발원조(ODA) 조달이 급증하고, 세계은행(World Bank) 산하 국제개발협회(IDA)의 양허성 자금지원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유엔 산하 국제기구들로부터 받은 기술지원을 경제개발에 집중적으로 활용한 베트남의 사례를 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임 교수는 재원조달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으로 한반도・동북아개발은행(가칭) 설립 등을 제시하며 한반도 신경제구상 실현을 위한 정책 소통의 장으로 한반도 신경제포럼(가칭)을 개최해 러시아의 동방경제포럼, 중국의 일대일로포럼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극동연방대의 트로야코바 타마라 교수는 “러시아의 선도개발구역(ADT) 같은 경제특구를 북한에 만든다면 여기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개성공단처럼 내수 및 수출에 필요한 제품뿐 아니라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북한에 필요한 제품들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지린(吉林)대 장후이즈(張慧智) 동북아연구원 조선반도연구소장은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주요 내용 중 인프라 시설 건설, 자원개발, 산업협력 등에서 한국, 중국, 러시아가 공동으로 협력해야 한다" 며 “다자간 협력은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 부담도 줄일 수 있으며 북한으로 하여금 시장규칙을 보다 엄격히 준수하도록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