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자연의 청소부’라 불리며 조류와 유기물, 모기유충, 식물성 플랑크톤 등을 잡아먹는 긴꼬리투구새우는 30개의 다리를 이용해 논바닥에 구멍을 뚫어 먹이를 찾는 습성 때문에 잡초의 자생과 해충 발생을 억제하고 벼의 뿌리 발육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친환경 농법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환경 농법으로 농산물 재배하고 있는 박정웅씨는 "14년 전 귀농해 처음 농사를 시작할 때만 해도 긴꼬리투구새우를 논에서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다. 제초제 사용을 멈추고 친환경 농법으로 바꾼 뒤 자취를 감췄던 긴꼬리투구새우가 다시 논으로 돌아오는 것이 눈으로 확인되고 있다.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논에서 대량 서식지가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생명환경농업으로 자연 생태계로 되살아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씨의 친환경 벼 재배단지를 비롯 초동마을 일대의 일반 관행논들에서도 긴꼬리투구새우의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친환경 지표’로 여겨지는 긴꼬리투구새우가 친환경 재배 논이 아닌 일반 논에서도 자주 모습을 보인다는 것은 땅심이 살아나며 유기물이 공급되어 친환경 농작에 도움이 되는 좋은 조건이 제대로 형성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강진군은 일찍이 친환경 농법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 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새끼우렁이 농법이 있다.
강진군은 제초제 사용을 줄이고 고품질의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2005년부터 새끼우렁이 농법 지원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모 잎의 피해를 확연히 줄이고 물달개비, 올방개 등 제조체 저항성을 가진 ‘수퍼잡초’ 방제에도 특효를 보이는 새끼우렁이는 농산물의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제초제의 대안으로 농가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강진군은 새끼우렁이의 원활한 공급과 지역 우렁이 업체 육성을 위해 친환경농업연합회 및 우렁이 생산업체와 협의해 업체별 공급권역을 설정해 농가에 새끼우렁이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인증 농가의 경우 자부담 20%를 면제해 주는 등 친환경 농법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다.
강진군청 송승언 친환경농업과장은 “FTA등으로 수입농산물이 범람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더욱 높아지는 시기 친환경 농산물 생산만이 가장 확실한 농가의 생존의 길이라 생각한다. 긴꼬리투구새우의 반가운 출현이 기점이 되어 강진의 친환경 농업이 더욱 발전하고 힘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