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보조금 횡령으로 말썽을 빚은 시각장애인협회 전북 군산시지회가 이번에는 직원들을 상대로 갑질을 일삼아 왔다는 주장에 제기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일부 시각장애인협회 군산지회 운영위원들은 센터를 찾아와 직원들에게 욕설과 폭언까지 퍼붓고 있지만, 이를 해결할 방안이 없어 욕받이로 전락한 직원들의 인권이 위기에 내몰려 있다.
군산시각장애인 주간보호센터와 이동지원센터(이하 센터) 직원들은 26일 오전 전북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상적 폭언과 감시에 시달리고, 부당한 업무지시에 고통받는 노동자는 (장애인 회원들에게)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센터 직원들은 "우리는 이동과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의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하는 노동자들이다"며 "그러나 이 2개 센터에 대한 운영권을 가지고 있는 시각장애인연합회 군산지회(이하 군산지회)가 이해할 수 없는 부당한 갑질로 노동자들의 권리를 침해해 왔다"고 주장했다.
회장과 일부 회원들의 갑질과 부당한 업무지시로 정작 돌봄 서비스를 받아야할 장애인 회원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는 것.
센터는 직원들은 또 "운영체계와 인사 및 회계는 엄격히 분리해야 하지만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며 "시각장애인들로만 구성된 지회의 운영위가 센터직원에 대한 인사권 등을 실질적으로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당한 업무지시에 따르지 않은 직원들 6명은 계약 연장을 안 해줘 센터를 떠났으며, 이 자리를 지회장 친척과 친구 및 지인들로 채워졌다"고 폭로했다.
이렇게 채용된 직원(지회장 친인척) 중 한명은 영수증의 날짜를 조작하는 등 행정적인 업무 실수가 잦아 센터를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터는 직원들은 "본 업무와 관계없이 시각장애인 군산시지회의 부당한 지시를 받았다"면서 "매년 김장철마다 400포기에 이르는 김치를 새벽 1~2시까지 담가야 했고, 지회의 각종 사무까지 떠맡았다"고 말했다.
한 직원은 회장의 부당한 보조금 횡령 지시를 견디지 못하고, 경찰에 제보해 '보조금 횡령'건으로 경찰 수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프레시안 4월 3일 보도>

센터 직원들은 "또 바자회나 벚꽃축제행사 부스운영과 같이 센터의 본래 업무와 거리가 먼 지회의 행사에 우리들이 동원됐고, 이로인해 한 여직원은 하혈과 고통을 호소해 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기도 했다"고 호소했다.
이어 "하지만 지회장은 치료비는 커녕 병가를 개인연차로 사용하도록 강요했으며 추가수당 지급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센터 직원들은 "우리들을 감시하고 업무외 노동을 강요하는 것 외에도 일상적인 폭언과 모욕, 직원들에 대한 해고 위협 등도 일상적으로 진행했다"며 "최근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직원들이 노동조합을 조직해 대응하자 지회는 주간보호센터장을 해고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주간보호센터장이 해고 당시 특별한 해고 사유도 듣지 못했으며, 6일이 지난 뒤에야 해고 사유를 통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기자회견장에는 평소 폭언과 욕설을 일삼은 시각장애인 군산지회 운영위원회원들이 찾아와 욕설과 폭언을 퍼부으며 기자회견을 방해하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시각장애인협회 군산지회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