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월드컵도 지속가능성이 중요하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월드컵도 지속가능성이 중요하다

[사회 책임 혁명]

제21회 러시아 월드컵이 한창이다. 대륙, 지리, 경제개발 수준에 따라 나뉘고 나뉜 전 세계가 하나가 되는 시기다. 대한민국도 월드컵 열기에 동참하며 선수들의 열정과 땀을 응원하고 있다.

월드컵, 올림픽과 같은 대형스포츠에 전 세계인이 열광하지만 개최 여부에 대한 비판적 시선도 존재한다. 대형스포츠 행사는 세계 평화와 인류애 제고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업주의의, 상업주의에 의한, 상업주의를 위한 프로그램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은 평창의 적극적인 홍보가 이룬 성과지만, 뮌헨의 부정적인 여론도 큰 영향을 미쳤다. 독일 내 올림픽 반대론자들은 뮌헨의 올림픽 유치를 반대하며 올림픽은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막대한 자원 투입으로 재정 불균형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1990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은 최악의 환경 오염을 일으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1996년 애틀랜타 하계올림픽 개최 당시 시는 흑인 인구가 많은 공공주택 단지 중 3만 가구를 철거하고 중산층을 위한 주택 단지를 새로 세웠다. 2000년 시드니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도 1만 명이 넘는 주민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대형스포츠 행사 개최에도 환경 보호 등 지속가능성의 가치 또한 고민되고 있다. 노르웨이에서 열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지속가능성 개념이 등장한 첫 올림픽이다. 릴레함메르 올림픽조직위원회는 나무 한 그루도 훼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1996년 올림픽 헌장에 환경 보호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1995년에는 스포츠환경위원회(Sport and Environment Commission)가 설립됐다.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은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고민해 선수촌과 주변단지를 계획했다. 2012년 런던 하계올림픽은 낙후된 지역으로 손꼽히는 빈곤 지역을 자연친화적, 지역재생 관점으로 접근해 올림픽 공원으로 재개발했다. 벤쿠버 동계올림픽과 런던 하계올림픽은 사회, 환경, 경제 세 가지 영역을 아우르는 '트리플 보텀 라인(Triple Bottom Line, TBL)' 체계를 정식 도입한 최초 올림픽이기도 하다.

특히 런던 하계올림픽은 지속가능한 음식 정책을 만든 최초의 올림픽이자 유일한 올림픽이다. 안전과 위생, 균형 잡힌 식단은 물론이고 재료의 유통 경로와 환경적 영향도 고려한 음식을 제공하겠다는 조항을 만들어 참가 선수와 관계자에게 공정무역 혹은 친환경적인 음식을 공급했다. 실제 대회 기간 런던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참가 선수와 관계자들에게 공정무역 커피 1400만 잔, 차 750만 잔, 바나나 1000만 개, 설탕 1000만 포를 보급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과 2016년 리우 하계올림픽에서는 반부패 프로젝트가 진행되기도 했다. 올해 진행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역시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를 포괄하는 지속가능성 원칙을 적용한 올림픽 개최를 위해 노력했고, 지금도 평창의 지역 발전과 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대형스포츠 행사와 지속가능성을 결합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진일보한 부분도 있지만, 여전히 과제가 많다. 런던 하계올림픽 마스코트와 관련된 노동 착취 의혹, 폐허로 방치된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 브라질 리우데자이네루 하계올림픽 대회 시설, 평창 동계올림픽 스키 활강장이 된 가리왕산의 환경 파괴 등 이슈도 다양하다.

대형스포츠 행사 개최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행사 준비와 개최 및 사후 관리 전 단계에서 사회, 환경적 영향력을 확인해야 한다. 개최 계획 수립, 업무 수행 조직 설립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함께해 지속가능한 이슈를 도출하고 활동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한 음식정책과 같은 좋은 정책은 유지하고 개최 지역의 지속가능성은 지역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마련해야 한다.

세계 공통 아젠다 실천, 개최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대형스포츠의 성공은 없다. 세계인의 축제가 세계인의 재앙이 되지 않도록 전 사회적, 전 지구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