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군산의 한 유흥주점에서 방화로 인해 3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화재 당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구조활동에 나선 반면 경찰은 초기 구조요청을 외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오후 9시 53분께 군산시 장미동 1층 건물 유흥주점에서 불길이 치솟자 인근에 있던 A(27)씨와 시민들이 구조에 동참했다.
당시 화재가 발생한 유흥주점 내부에는 수십여 명이 구조를 기다리고 있었으며, 긴급 출동한 119가 도착했어도 촌각을 다투는 질식·화상환자들을 신속하게 병원으로 옮길 수 있는 차량이 부족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A씨와 시민들도 유흥주점 비상구 앞에서 질식·화상환자를 들쳐 업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 뒤 자신들의 차량을 이용해 병원으로 이송했던 것.
특히 인근을 지나가던 시내버스도 운행을 멈추고, 버스 승객들과 함께 환자들을 병원으로 실어 나른 것으로 전해졌다.
논란이 이어지는 대목은 추가로 구조해낸 응급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차량이 더 이상 없자 인근에 있던 경찰차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던 것.
A씨는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차량이 더 이상 없자, 인근에 있던 경찰차를 발견하고 뛰어가서 ‘이분 숨을 안 쉬는데, 경찰차를 이용해 병원으로 옮기자’고 도움을 요청했다”며 “하지만 경찰이 응급환자를 바라만 볼뿐 도움을 주지 않았다”고 울분을 토했다.
또 “당시 너무나 화가 나서 도움을 거절하는 경찰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싶었지만,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 때문에 그럴 상황이 아니었다. 곧장 10m 떨어져 있는 다른 경찰에게 뛰어가서 ‘환자 상태가 심각하니 경찰 한명만 교통정리 하고 나와 같이 이 환자를 병원으로 옮기자’고 재차 도움을 요청했지만 역시 거절당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상황이 이러하자 시민들의 비판의 목소리가 이곳 저곳서 터져 나왔으며 5분여가 지나서야 경찰이 병원 이송에 동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화재 초기에 소방관들과 시민들은 응급환자를 한명이라도 더 구조하기 위해 정말 많이 노력했지만, 경찰에 대해서는 별로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며 경찰의 화재 초기 대응에 대해 아쉬움을 삼켰다.
이에 대해 경찰은 “초기 경찰 대응에 대해서는 아직 파악하지 못했지만 우리도 수 차례에 걸쳐 응급환자를 경찰차를 이용해 구조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방화 용의자 이모(55)씨는 이날 술 외상값 때문에 주점 주인과 시비를 벌이다 휘발유를 가져와 이 주점에 들이 붓고 불을 질러 3명이 숨지고 3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