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궁중족발 비극'은 또 일어날 수 있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궁중족발 비극'은 또 일어날 수 있다

[기고] 건물주가 생사여탈권 쥐고 있는 사회, 지속 불가능하다

지난 7일 있었던 서촌 '궁중족발 망치사건'은 대한민국이 지금과 같은 지대추구사회로 존재하는 한 사회통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징후적 사건이다. 각종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사건의 얼개는 간명하며, 대략 아래와 같다.

2009년부터 아내와 함께 서촌에 족발집을 연 사장 김 씨는 2016년 경부터 새 건물주와 극심한 갈등을 빚었다. 갈등의 원인은 새 건물주의 무리한 요구 때문이었다. 새 건물주는 김 씨에게 임대보증금을 기존의 3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월세는 297만 원에서 1200만 원으로 각각 올려달라고 요구했다. 김 씨가 임대료 인상을 거부하자 새 건물주는 법적조치를 했고 급기야 건물에 대한 명도강제집행을 하는 과정에서 12차례의 격렬한 물리적 충돌이 빚어졌다. 새 건물주는 마침내 강제집행에 성공했다. 김 씨는 강제집행이 끝난 후에도 굴하지 않고 새 건물주의 다른 건물이 있는 청담동 등지에서 1인 시위를 벌였다. 사건 당일에도 김 씨는 '1인 시위' 중이었는데, 새 건물주와 통화 하던 중 '구속시키겠다'는 말과 함께 욕설이 들려오자 참지 못한 김 씨가 새 건물주를 찾아가 망치를 휘둘렀다.

당연한 말이지만, 김 씨는 실정법에 따라 처벌될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김 씨를 실정법에 의해 처벌하는데에서 그친다면 제2, 제3의 김씨가 나타나는 걸 방치하는 셈이 될 것이다. 우리는 서촌 궁중족발 사건을 2가지 관점에서 봐야 한다. 그래야 유사 사건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하나는 '지대의 사유화'라는 관점이다. 아주 오랜기간 지가 상승이 잠잠했던 서촌은 인근 북촌을 삼킨 투기열풍이 옮겨 붙어 근년 들어 지가가 천정부지로 뛰었다. 지가가 폭증하자 이를 노린 투기수요가 더욱 몰렸고, 흔히 말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창궐했다. 단언컨대, 서촌 궁중족발집이 임차한 건물을 2016년 1월경 매수한 새 건물주도 서촌이 그전처럼 지가 상승에서 소외된 지역이었다면 문제의 건물을 매수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지가의 뿌리는 우리가 익히 알다시피 지대다.

결국 서촌의 비극이 발생한 원인(遠因)은 '지대의 사유화'인 것이다. 전적으로 공공이 만들어 낸 지대를 부동산 보유세 등의 장치를 통해 대부분 공공이 환수했더라면 서촌의 지가가 앙등할 가능성이나 투기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제2, 제3의 서촌의 비극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대를 보유세 등을 통해 공공이 환수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힘의 비대칭성'이라는 관점이다. 새 건물주가 서촌 궁중족발 사장 김 씨에게 들이민 새 임대차 조건, 특히 임대료의 경우는 사실상 나가라는 통보에 다름 아니다. 임대료를 4배 더 올리고도 영업을 할 수 있는 영세 임차인이 대한민국에 과연 몇이나 될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정의관념이나 균형감각으로 볼 때 새 건물주가 내민 임대차 조건은 사실상 합법의 탈을 쓴 약탈계약에 가깝다. 문제는 새 건물주가 완벽히 법의 보호를 받았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우리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극단적 힘의 비대칭성'을 온존시키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미비가 서촌의 비극을 낳은 근인(近因)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따라서 차제에 계약갱신청구권의 보장기간, 임대료 상승범위 제한 등의 내용을 임차인에게 지금보다 더 유리하도록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을 개정해야 한다.

공공과 개인이 만든 가치를 단지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토지소유자가 전유하는 사회가 지속가능할 수는 없다. 임대인이 임차인의 생사여탈권을 쥐는 사회가 건강할 리도 없다. 우리가 '지대의 사회화' 및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힘의 비대칭성 완화'에 성공하지 못하는 한 서촌의 비극은 다른 장소에서, 다른 형태로 재발할 것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