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강원랜드 카지노…‘브레이크 없는 추락’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강원랜드 카지노…‘브레이크 없는 추락’

[카지노산업 붕괴위기] ②강원랜드 ‘신화’ 가 무너지다

대한민국 카지노 산업의 신화를 창조하면서 동남아 카지노산업발전의 기폭제 역할까지 했던 강원랜드가 추락하고 있다.

강원랜드의 추락은 도를 넘는 지나친 규제를 비롯해 낙하산 인사로 대표되는 정치권의 과잉간섭, 현실 안주를 부추긴 감독 부처 등의 영향으로 이미지까지 실추시켰다는 지적이다.

지난 2000년 10월 28일 강원도 첩첩산골 강원랜드 스몰카지노가 개장과 동시에 대박을 터뜨리자 동남아 각국이 강원랜드를 주목했다.

▲정부의 과잉 규제와 간섭으로 강원랜드는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추락하고 있다. ⓒ프레시안

스몰카지노에 이어 2003년 3월 메인카지노 성공개장, 골프장, 콘도와 스키장, 컨벤션호텔이 잇따라 개장한 뒤 2007년 강원랜드는 마침내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했다.

이때부터라도 전문 CEO가 강원랜드 경영에 나설 수 있도록 했다면 가족형 종합리조트 완성, 해외진출을 통한 외연확대로 글로벌 기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정권의 전리품처럼 취급되면서 강원랜드 신화는 무너지기 시작했다.

강원랜드 성공개장이후 40년간 독점체제를 고집하던 마카오가 2001년 문호를 개방했다. 가장 먼저 라스베이거스 자본이 마카오에 상륙해 샌즈(金沙)차이나 카지노가 2004년 5월 문을 열었다.

샌즈차이나가 개장 10개월 만에 투자금 2조 원을 회수하자 마카오를 보는 시각이 달라졌다. MGM과 윈, 갤럭시를 비롯한 글로벌 카지노기업이 속속 진출하면서 마카오는 천지개벽을 이루게 되었고 마침내 2007년부터 세계 최고 ‘카지노도시’로 등극했다.

또 ‘도덕국가’로 알려진 싱가포르도 카지노 시장을 개방해 ‘리조트월드 센토사’, ‘마리나베이 샌즈’가 2010년 문을 열면서 복합카지노리조트의 진가를 보여주었다.

비슷한 시기, 필리핀도 마닐라 신도시지역에 싱가포르 수준의 대형 카지노리조트가 속속 문을 열면서 ‘카지노 강국’ 대열에 합류했다.


▲아시아 카지노산업 발전을 주도했던 강원랜드가 정부의 규제폭탄으로 희망을 상실하고 있다. 사진은 마카오 그랜드 리스보아, 리스보아 카지노리조트 전경. ⓒ프레시안

강원랜드의 성공에 이어 마카오, 싱가포르 필리핀 등지의 복합카지노 리조트가 대박을 거두자 베트남과 일본도 카지노산업에 빗장을 풀었다.

강원랜드가 강원도 폐광촌에서 대박을 거두자 공기업인 한국관광공사는 자 회사 그랜드코리아레저(GKL)를 설립해 2006년 서울강북과 강남 및 부산 등 3곳에 외국인전용 카지노를 개장했다.


이처럼 동남아 카지노산업에 커다란 획을 그은 강원랜드는 안타깝게도 무소불위의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사감위)가 주도하는 ‘매출총량제’라는 규제 암초를 만나면서 추락하고 있다.

사감위는 강원랜드가 2013년~2016년까지 4년간 약 4700억 원의 매출을 초과했다며 매출총량제 준수를 강요했다.

매출 8조 원에 가까운 마사회를 비롯한 사감위의 감독을 받는 7개 사행산업 중 강원랜드는 유일하게 4년 연속 총량제 초과 사업자라는 이유로 무장해제 수준의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이다.

강원랜드는 매출총량제 준수를 빌미로 올 초부터 일반 영업장의 테이블 수가 기존 180개에서 160개로 축소되고 지난 4월부터 카지노 영업시간이 20시간에서 18시간으로 2시간 단축,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폐광지역 경제회생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만든 강원랜드는 ‘채용비리’라는 올가미에 걸려 200명 넘게 집단 해고를 당했다.

서비스가 생명인 강원랜드는 직원들의 무더기 해고로 고객서비스가 퇴보하면서 이미지 역시 한없이 추락하고 있다.

가뜩이나 고객에게 일방적으로 불리한 베팅조건, 출입일수 규제는 물론 고객들이 서비스 개선을 요구할 분위기마저 사라지면서 우량 고객들이 강원랜드를 떠나가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까지 하루 평균 8500명 넘게 찾던 카지노 입장객이 지난 4월부터 6000명 수준으로 25% 가량 감소했다. 매출도 하루 평균 40억 원 미만에 그치는 등 10% 이상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랜드 고객 박모씨는 “지난해까지 강원랜드는 난장판 분위기라는 지적을 받아 왔지만 서비스는 살아있었다”며 “올들어 고객서비스가 추락하면서 더 이상 강원랜드에 찾아올 매력을 완전히 상실했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한산한 강원랜드 입장권 발권데스크. ⓒ프레시안

고객 급감으로 강원랜드 경영실적은 뒷걸음질 치고 있고 우량 고객들은 해외 원정도박이나 온라인 도박 등 불법 사행산업으로 유턴하면서 과잉규제가 불법을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강원랜드는 지난 2013년 1700억 원을 들여 카지노 영업장 환경개선을 실시했지만 정부의 정원규제로 인한 딜러 부족으로 게임테이블 50대 이상은 가동을 못했다. 영업장 환경개선 사업은 의미가 사라졌다. 당시 게임테이블 확장은 68대 규모였다.

아울러 지난 1월 말 기타 공공기관이었던 강원랜드는 폐광지역의 영향력이 대폭 차단되고 사실상 정부가 경영을 주도하는 시장형 공기업으로 전환됐다.

폐광지역을 위한 사업 추진이 사실상 힘들어지고 지역의 목소리 대변도 사라지면서 강원랜드 설립취지가 무너지고 있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낙하산 인사로 인한 비전문 경영진은 물론 정치권 진출을 위해 강원랜드 사장으로 자리를 차지한 이들 때문에 강원랜드는 채용비리, 정치권의 재취업장 이라는 비아냥이 쏟아지고 있다.

이처럼 내우외환의 시련도 모자라 지역에서는 ‘폐광지역의 희망’으로 만들어진 강원랜드가 중앙정부만을 위한 강원랜드로 전락했다는 불만이 고조되면서 폐광지역 분위기도 험악해졌다.

강원랜드 최대주주 역할을 해온 한국광해관리공단이 무려 5조 2000억 원이 넘는 부채를 짊어지고 있는 환국광물자원공사와 통합이 결정되면서 강원랜드의 향후 위상도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박종철 전 강원랜드 사외이사(소액주주협의회장)는 “규제폭탄과 비효율적인 경영환경 때문에 강원랜드는 희망이 사라졌다”며 “특히 천문학적인 부채를 진 광물공사와 강원랜드 최대 주주인 광해공단과의 통합은 강원랜드에 좋지 못한 결정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차라리 강원랜드는 민영화가 되어야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강원랜드의 방만경영과 비효율 경영의 폐해가 드러난 상황에서 광물공사와 광해공단의 통합은 진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원기준 광산지역사회연구소장은 “폐광지역 광해복구사업을 주도왔던 광해공단이 덩치가 훨씬 큰 광물공사와 통합되면 폐광지역에 대한 사업차질이 불가할 것”이라며 “당장은 강원랜드에 영향이 적겠지만 장기적으로 우려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분석된다”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카지노의 새로운 신화를 창조한 강원랜드는 과도한 규제로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프레시안

정부의 규제가 현재처럼 계속되면 강원랜드는 폐광지역 고용창출과 지역경제활성화 명분이 퇴색되고 변방으로 추락하면서 향후 1, 2년 내 구조조정도 불가피해 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사감위의 매출총량 규제가 계속되고 정치권의 과잉간섭이 지속되면 강원랜드는 희망이 없다”며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강원랜드 우량고객의 이탈은 강원랜드 추락의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