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당의 대표를 비롯해 연석회의에 포함돼 있는 시민단체 대표들은 1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차 합의문을 발표했다. 사회당은 일단 이 합의문에 동의하지 않았다.
북한의 권력승계 문제로 최종 결렬 위기에 놓였던 진보정당의 통합은 이로써 한 고비를 넘었다. 그러나 양당의 내부 설득 과정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보신당의 경우 지도부 내부 설득조차 쉽지 않다. 때문에 양당 관계자들은 모두 "이제 진짜 시작이다"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北 권력승계' 진보신당 대폭 양보…대선은 "완주가 원칙이나 가치 기준 연대 가능"
전날 오전부터 진행됐던 정책 협상은 이날 새벽 최종 타결에 이르렀다. 이들은 합의문에서 북한의 3대 세습 문제와 관련해 "6·15 정신에 따라 북의 체제를 인정하고 '북의 권력 승계 문제는 국민 정서에서 이해하기 어려우며 비판적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견해를 존중한다"고 밝혔다.
표면적으로 보면 양당이 모두 한 발씩 물러선 것이지만, 내용상으로 보면 진보신당의 양보가 컸다. 새로운 진보정당이 북의 권력승계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기 때문이다.
진보신당은 협상 막바지까지 "권력세습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다"고 명시하자고 요구했었다. 진보신당 관계자는 "사실 이 문구조차 엄밀히 말하면 당대회 결정사항, '권력세습을 반대한다'보다 후퇴한 것"이라고 말했었다.
민주노동당은 반면 "국민들의 정서에서 이해하기 어렵더라도 6·15 정신에 따라 북의 체제를 인정한다"는 문구를 요구했었다.
▲두 당의 대표를 비롯해 연석회의에 포함돼 있는 시민단체 대표들은 1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차 합의문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
또 하나의 쟁점이었던 '패권주의'에 대해 이들은 "패권주의와 분파주의를 극복, 다수가 소수를 배려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들은 그 원칙에 따라 1인 1표제로 공직과 당직 후보를 선출하고, 일정기간 공동 대표제를 운영한다고 약속했다.
2012년 총선 방침에 대해서는 "가치 중심의 정책 연대와 호혜 존중을 기준으로 선거연대를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고, 대선에 대해서는 "당의 후보를 출마시켜 진보 정치 세력의 승리를 위해 완주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고 합의했다.
다만 대선의 선거연대와 관련해 "신자유주의 극복과 관련된 주요정책들에 대한 가치를 확고한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가치를 기준으로 대선에서의 선거 연대도 가능하다는 것.
양당의 내부 설득 난항 예상…조승수 "죽을 힘 다해 설득할 것"
어려울 듯 보였던 양 당의 통합 논의가 극적 타결에 이르렀지만 합의안이 양당에서 공식 추인되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일단 양당 모두 이 합의문이 중앙위원회, 전국위원회를 통과해야 하고, 결정적으로는 17~18일(민주노동당)과 26일(진보신당) 열리는 당대회에서 통과돼야 한다.
정책 합의문이 공식적으로 추인되면 양 당은 9월 최종 통합을 위한 새로운 진보정당 창당대회를 갖게 된다.
민주노동당도 당내 반발이 전혀 없지는 않겠지만, 더 험난한 길이 예상되는 것은 진보신당이다. 진보신당은 지난 3월 당대회에서 통합과 관련해 까다로운 기준을 명시하는 수정안이 대의원들에 의해 통과된 바 있다. 당장 진보신당 부대표들도 이날 합의에 반발해 별도의 기자회견까지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는 "우리 안의 관철보다 상대가 수용할 수 있는 것까지 함께 고려해가면서 어렵게 합의에 이르렀다"며 "이런 과정을 당원들에게 적극적으로 전달하고 죽을 힘을 다해 설득해내겠다"고 다짐했다.
조 대표는 "낙관도 비관도 하지 않지만 우리 당원들의 올바른 판단을 믿는다"고 덧붙였다.
북한 넘으니 '참여당 참여' 쟁점 남아…"참여당은 이 흐름 거부하지 않을 것"
각 당의 내부 설득 과정과 별도로 국민참여당의 참여 문제도 남은 쟁점이다. 이날도 조승수 대표와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는 참여당 문제를 놓고 미묘한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와 몇 차례나 별도의 통합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진 이정희 대표는 "참여당이 4차 합의문에 동의한다는 의사를 연석회의에 분명하게 표현해 오면 포함할지 여부를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승수 대표는 "참여당의 입장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았고 포함 여부도 내부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참여당의 포함까지 더 큰 문제는 연석회의의 또 다른 주체인 시민단체들이다. 민주노총(위원장 김영훈) 등 시민단체들의 참여당과 유시민 대표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하기 때문. 양당이 참여당 참여를 수용하더라도 이들이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참여당으로서는 연석회의 틀 안에서 최종 합의문을 도출한 이날 결과가 아쉬울 수 있는 이유다.
참여당은 일단 환영 의사를 밝혔다. 이백만 참여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번 합의가 대중적 진보정당 건설의 기초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진보통합, 더 나아가 야권통합은 시대의 흐름이자 대의이며 참여당은 이 흐름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