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MB에겐 '盧의 문재인'ㆍ'DJ의 박지원'이 남아 있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MB에겐 '盧의 문재인'ㆍ'DJ의 박지원'이 남아 있나?

[전망] 靑 개편, '충성심'과 '정치력' 겸비한 실장을 찾아라!

4.27 재보선 참패로 임태희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수석비서관들이 사실상 집단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청와대 개편도 가시화되고 있다. 어차피 예정됐던 개각에 한나라당 비상대책위 출범과 맞물려 전면적 당정청 개편이 예고된 셈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8일 수석비서관들과 티타임에서 "민심을 무겁고 무섭게 받아들인다"면서 청와대 참모들을 향해서도 "자기 일이 있는 사람은 5월 중 청와대를 떠나라"는 식으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내년 총선에 출마할 사람들은 이번 재보선과 별개로 여름이 오기 전에는 거취를 정리하지 않겠냐는 이야기가 많았다. 하지만 한꺼번에 썰물 빠지는 듯 몰려나가기보다는 자연스럽게 교체되는 수순이 예상됐지만 이제는 이야기가 달라진 것.

다음 대통령실장으로는 백용호 정책실장, 박형준 사회특보, 이동관 언론특보, 원세훈 국정원장 등이 거론된다.

백용호, 원세훈, 박형준, 이동관 등 거론

임 실장을 비롯한 일부 수석, 출마 준비를 하는 비서관까지 물러나는 것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시기는 개각, 당 개편과 맞물릴 문제다. 이미 진척되고 있는 개각은 이르면 내주 초 단행될 것으로 보이나 그 폭이 확대될 경우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

청와대 인사는 개각보다는 당 개편과 연동될 것으로 보인다. 임기 말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선 당청 화합이 필수적이기 때문.

후임 대통령실장으로 거론되는 인물들은 모두 동전의 양면처럼 장점과 단점을 겸비하고 있다. 백용호 정책실장의 경우 대통령의 신임이 높고, 공정거래위원장·국세청장·대통령실장을 지내는 동안 업무 능력에서도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정무적 능력을 검증받은 적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원세훈 국정원장의 경우에도 대통령의 신임은 남부럽지 않은 인물이다. 하지만 경질설이 나올 정도로 한계를 노출했던 인물을 대통령실장에 앉히기는 부담스럽다. 게다가 '돌격대' 스타일의 원 원장에 대해선 여권에서도 비토 세력이 만만치 않다.

박형준·이동관 특보는 대통령의 신임, 정무적 감각을 두루 갖춘 인사들이다. 하지만 원래 정치인 출신이었던 박 특보는 물론 18대 총선 출마를 포기하고 청와대로 들어왔었던 이 특보가 이번에 다시 청와대로 들어올 경우 사실상 내년 총선 출마는 어려워진다. 일각에선 박 특보가 '순장'을 고민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문재인 모델'이냐 '박지원 모델'이냐

▲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실장인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프레시안

어찌됐던 이번 당정청 개편은 이명박 정부로서는 마지막이나 다름없다. 물론 개각이나 청와대의 개편은 추가로 단행될 수 있지만 이번 전면쇄신에 대한 보충형, 혹은 돌발적 상황에 대한 대응의 성격이 될 것이다.

특히 청와대 대통령실장이 누가 되느냐는 이명박 정부의 '마무리 방향'을 점칠 수 있는 주요 포인트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 2007년 3월, 자신의 임기를 1년 남겨놓고 문재인 노무현 재단 이사장을 비서실장으로 임명했다. 그 이전에 시민사회수석, 민정수석을 지낸 문 이사장이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실장'이 되는 것은 누구나 예측가능한 그림이었다.

문재인이 비서실장으로 발탁되면서 임기 말이지만 당시 청와대는 급속도로 안정을 찾았고 노 전 대통령도 한 숨을 돌렸다. 문재인은 노 전 대통령 퇴임 후는 물론 사후에도 한결같다. 누구든 '나에게도 저런 참모 하나 있으면' 싶을 사람이 바로 문재인이다.

하지만 문재인의 한계도 분명하다. 문재인이 청와대로 복귀하기 직전 노 전 대통령이 여당을 탈당하는 등 당청관계는 사실상 단절된 것이나 마찬가지의 상황이었다.

문재인은 청와대 안을 추스리는데 주력했을 뿐 여의도 쪽을 바라보지도 않았었다. 그로 인해 잡음이 덜했던 것은 분명하지만, 결과적으로 당시 여당은 큰 힘도 못 쓰고 한나라당에 정권을 내줬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상황은 그때와 다르다. 청와대도 안정시키면서 현 정부의 의제를 추진하는 것은, 물론 정권 재창출도 놓을 수 없다. 차기 주자에게 모든 것을 내주면서 '나를 밟고 가라'기도, 평가는 역사에 맡길 테니 차기 구도에 신경쓰지 않고 '우리 갈 길을 간다'기도 어렵다.

그런 까닭에 이명박 대통령은 김대중 정부의 마지막 비서실장이었던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 모델을 바랄만 하다. 박지원은 '3홍 비리' 등으로 난타당하던 청와대를 추스르고 김대중 당시 대통령을 보필하는 동시에, 2002년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국민경선을 비롯해 이른바 '후단협 사태'등을 정리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한 막후역할을 했다. 결국 김대중 정부의 마무리와 정권 재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것이다. 게다가 주군의 퇴임 후, 사후까지 챙기는 것은 문재인 못잖다.

'충성심'의 문재인, '충성심과 정치력'을 갖춘 박지원. 이명박 대통령이 둘 중 하나라도 찾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