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잊을 수 없는 그날, 2009년 1월 20일 새벽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잊을 수 없는 그날, 2009년 1월 20일 새벽

[기고][ 그날 - 용산철거민 학살 추모 9주기에 바쳐

그날

그날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발끝부터 화형당하던
그날
가난한 이들의 비명소리조차 진압당하던
그날
통곡도 절규도 경악도 수갑에 채워지던
그날
다섯 명의 전태일이 다시 한꺼번에 불태워지던
그날
전남도청을 지키던 시민군들이 다시 옥상으로 내몰리던
그날
누군가가 다시 고문당하고 의문사 당하던
그날
중앙정보부 안가 7층에서 최종길이 다시 내던져지던
그날
신민당사 옥상에서 김경숙이 다시 뛰어내리던
그날
신흥정밀옥상으로 내몰린 박영진의 몸에 다시 불길이 타오르던
그날
안양병원 옥상에서 다시 박창수가 내던져지던
그날
부정투표함을 지키던 구로구청 옥상에서 다시 사람들이 뛰어내리던
그날
접근금지의 비무장지대에서
천만 비정규직들이 이천 이백만 노동자 가족들이
오백만 도시빈민들이 이백만 청년실업자들이 백만 이주노동자들이
오십만 장애인들이 다시 길 잃은 난민으로, 국외자로 몰리던

그날
재벌들의 앞날이 환해지던
그날
모든 금수저 특권층 대주주 가족들의 저녁이 풍성해지던
그날
고위 관료들의 미래가 더욱 안전해지던
그날
부패한 정치인들의 차기 차차기가 밝게 점쳐지던
그날
진압책임자가 학살책임자의 총애를 받아
일본총영사로 인천공항공사 사장으로
국회의원으로 화려하게 등극하던
그날

그날들을 잊을 수가 없다
아직도 어디에선가 불태워지는 가난한 자들의 절망을
오늘도 어디에선가 생의 주소지를 잃고 헤매는 이들의 막막함을
오늘도 헬조선의 비애를 숙명처럼 살아가야 하는
모든 흙수저 N포세대 인생들의 가녀린 소망들을
잊을 수가 없다
그 모든 생의 아픔 곁에서
오늘도 입에 재갈이 물린 채 갈 곳 잃고 서성이는
다섯 철거민들의 얼굴을 잊을 수가 없다

철거되어야 하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저들의 무한한 독점과 탐욕이라는 것을
진압당해야 하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저들 소수의 권력과 특권이라는 것을
잊을 수가 없다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언젠가는 꼭 이루고 말리라 약속하며
눈물로 떠나 왔던 남일당 건물 위 파란 망루를
다른 꿈을 꾸는 이들의 작은 꼬뮌이었던 레아를
작은 광주였던 그곳을
작은 1987이었던 그곳을
작은 7.8.9였던 그곳을
나는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그곳에 남겨두고 온 나의 약속을
잊을 수가 없다

▲ 용산참사가 일어난 남일당 건물. ⓒ프레시안(최형락)

(덧말)

오후 내내 몽롱한 상태에서 보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았다. 조금은 더 외롭고 가난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날이었다. 너무 많은 말들과 갈등과 욕망들에 노출되어 있어서인지 뱃속이라도 비우고 싶었으리라.

며칠 잠을 설친 탓도 있어서였을까. 고작 세 끼 굶은 것인데도 저물 무렵이 되자 나른한 정신이 허공으로 붕 뜨는 기분이었다. 목디스크 증상으로 몇 달째 먹고 있는 ‘아편성 진통제’로도 느껴보지 못했던 몽롱함이 고단한 현실로부터 내 영혼을 떼어내 위무라도 해주는 듯, 과히 나쁘지만은 않았다. 어느 순간 밀려드는 졸음까지도 달콤. 까무룩하니 잠들었다 깨어나 보니 자정이 넘은 시간. 모두가 가고 난 사무실의 투명한 적막조차도 나쁘지 않았다. 언제쯤이나 나의 영혼은, 우리는 삶의 감미로움과 평온과 고요를 얻을 수 있을까.

괜한 상념을 접고,

9년 전 용산 참사 현장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야 했다. 날이 밝으면 추모시 한 편을 다시 출력해 가슴에 담고 마석 모란공원으로 가야 하는 날.

굳이 지금 와서 용산 철거민 참사의 내막과 의미를 설명하고 싶지는 않다. 그날 새벽 남일당 위 파란 망루 안에서 잠시 일렁이다 이내 거대한 불기둥으로 솟던 발화의 원인과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말하고 싶지도 않다.

그러나, 서울시장 시절 서울 전역 서민 주거지 100여 곳을 재개발, 재건축, 뉴타운 건설 지역으로 허가해 일부 자산가들과 투기 건설자본의 먹이를 만들어주고, 대통령 재임 시절 용산4가에서 철거민들의 첫 저항이 발생하자 발빠르게 대터러 진압부대를 투입해 신속하게 망루를 진압하게 했던 이명박을 역사의 법정에 꼭 세워야 한다는 말은 적지 않을 수 없다. 그 재빠른 진압의 노고를 인정받아 일본총영사로, 인천공항공사 사장으로, 이제 다시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 행세하고 있는 전임 서울경찰청장 김석기에 대해 분명히 단죄해야 한다는 분노의 말을 남기지 않을 수는 없다.

잊을 수 없는 2009년 1월 20일 새벽.

‘그날’은 가난한 철거민 다섯 명과 무고한 일선 경찰관 한 명만이 짓밟히고 죽임을 당한 날이 아니었다. 그렇잖아도 거덜나있던 한국사회 민주주의가 짓밟히고, 수천만 민중들의 인권이 처참하게 불태워진 날이었다. ‘그날’은 용산4가 철거민과 연대하던 타 지역 철거민들만이 끌려 간 날이 아니라, 토건 부동산 투기 공화국의 무한한 영화를 위해 집 가지지 못한 모든 자들의 권리가, 가난한 모든 이들의 최소 생존권이 재갈 물려 끌려 간 날이었다. ‘그날’은 철거민 다섯 명의 시신만이 순천향병원 냉동고에 갇힌 날이 아니라, 우리 시대 모든 이들의 평화와 평등의 염원이 꽁꽁 얼려져 시대의 냉동고에 갇힌 날이었다.

‘그날’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기도 하다. 2017년 촛불항쟁을 통해 몇 명의 권력자들과 자본가를 감옥으로 보내고, 새로운 정부를 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그들을 키워 온 보수금권의 토대와 구조는 여전히 견고하다. 소수의 자본가들과 금수저 특권층들을 위한 온갖 혜택들은 여전히 넉넉한 대신, 흙수저 N포세대들의 절망은 끝나지 않고 1100만 비정규직 노동자 가족들의 비참한 현실은 오늘도 명백한 진행형이다.

‘그날’을 잊을 수 없다. 추모문화제 한번을 열기 위해 구속을 각오해야 했던 그 수많던 날들. 사과박스에 작은 스피커를 숨겨 들고 나가야 했던 청계광장에서의 매일 촛불. 녹아내린 파란 망루를 지키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열던 남일당 앞 미사. 평화바람 유랑차를 끌고 용산으로 들어와 주셨던 문정현 신부님. 레아의 독립미디어센터, 끝나지 않는 미술전과 연극제. 두 달만에 긴급히 펴냈던 르뽀집 ‘여기 사람이 있다’와 문학인들의 연대 산문집 ‘지금 내리실 역은 용산참사역입니다’ 등등. 네 번의 점프 가투 끝에 잡혀 들어간 혜화경찰서 유치장. 철거민을 학살해두고 무슨 ‘서울 하이페스티벌’이냐고. 서울시청 광장 개막식 무대를 점거하고 올라가던 수많은 저항자들. 유가족들과 함께 울고 또 울고, 싸우고 또 싸우며 미친 듯 지내야 했던 2009년의 ‘그날들’. 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은 용산. 이명박이 비로소 역사의 법정에 서는 날. 김석기의 번지르한 양복깃에서 대한민국 국회의원 뱃지를 떼어내고 그 역시 역사의 법정에 세우는 날이면 ‘그날’ 우리 모두가 나눠 가져야 했던 뜨거운 불꽃상처 또한 조금은 식고 아물게 되는 걸까. 9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내 가슴에 살아남아 있는 용산의 분노를 되새겨본다.

(2009년 용산참사 투쟁 당시 현장 낭송시 바로가기 ☞ 이 냉동고를 열어라 - 송경동)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