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후 고향 봉하마을로 내려와 재생과 복원에 힘을 쏟았던 화포천습지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다. 화포천습지는 국내 하천형 습지보호지역 가운데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13종에 달하는 등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보전가치가 우수한 지역으로 평가돼 왔다.
경남도는 환경부에서 경남 김해시 진영읍 설창리와 한림면 퇴래리 일대의 화포천 습지 가운데 1.24㎢를 오는 23일자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한다고 22일 밝혔다.
화포천 습지는 지난 2000년 이후 소규모 공장의 난립으로 심각하게 훼손됐다가 2007년 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추진했다.
하지만, 홍수피해 방지를 위한 사업을 먼저 요구한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닥쳐 중단됐다가 10년 만에 지정됐다.
화포천습지는 전체 길이 22.25㎞에 유역면적 138.38㎢에 이르는 화포천의 중류부터 낙동강과 만나는 하류지점까지 형성된 하천형 배후습지이다.
선사시대 이전부터 생성돼 이어져온 것으로 추정되며, 습지 전체 규모는 길이 8.4㎞에 면적은 2.995㎢로서 겨울에는 철새들의 보금자리로 유명하고 봄과 가을에는 물안개가 장관을 이룬다.
특히, 일본에서 인공으로 부화된 후 방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황새 ‘봉순이’가 도래하면서 보존가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다.
뿐만 아니라 식물 352종과 곤충 165종, 어류 15종 등 600종이 넘는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멸종위기 동·식물도 귀이빨대칭이·수달(1급), 큰고니·큰기러기·독수리·노라부리저어새(2급) 등 13종이 서식하고 있다.
화포천습지는 김해지역 난개발이 심하던 지난 2000년 이후 상류지역에 우후죽순으로 들어선 소규모 공장과 공단들 때문에 수질오염이 심각해졌다. 심지어는 습지 일부가 폐기물 매립장으로 사용될 만큼 환경파괴가 심각했다.
그러던 중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낙향 후 마을 주민들과 함께 친환경 농법으로 농사를 짓고 오염된 화포천을 되살리기 위해 재생사업에 앞장섰다. 또 지역 주민들과 환경부·경남도·김해시도 발 벗고 나서면서 차츰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 시작했으며, 습지보호지역 지정 추진 10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화포천 전체 면적의 74%를 차지하는 사유지를 단계적으로 매입해 자연 상태의 하천습지 생태계로 복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화포천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습지 보전관리 대책과 세부적인 사업 발굴 등을 위해 오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지역주민, 지자체, 전문가, 민간단체 등으로 ‘화포천습지 보전관리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습지보전 계획은 이후에도 5년 주기로 수립해 시행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