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홍상표 홍보수석은 이날 오후 6시 "더욱이 민간인에 대해서까지 무차별 포격을 가한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정부성명'을 발표했다.
홍 수석은 "우리 군은 이러한 북한의 도발에 대해 교전수칙에 따라 즉각 대응하였으며, 북의 피해 상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홍 수석은 "북의 추가 도발시에는 단호히 응징할 것이다"면서 "북한 당국은 이번 사태에 대해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홍 수석은 "이명박 대통령은 '단호하게 대응하라'고 말했다"면서 "확전이 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는 말을 직접적으로 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이 긴급 수석 회의와 안보장관회의를 개최하기 시작했을 때 "'더 이상 확전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말씀하셨다'고 전했고 이 발언은 거의 모든 언론에서 청와대 발 1신으로 보도했다. 하지만 홍 수석은 이를 부인한 것.
이는 '맨 처음으로 단호한 대응을 언급하지 않고 유약한 자세를 보였다'는 일각의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 긴급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청와대 |
"향후 군사적 대응? 뭐라 말하기 어렵다"
한편 홍 수석은 향후 추가 군사적 대응 등에 대해선 "지금은 뭐라 말하기 어렵다"고만 말했다.
하지만 '데프콘이나 워치콘 대신 진돗개 하나를 발령한 것은 현 상황을 국지적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대해선 "군사분계선에서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서해 5도 지역에서 일어나는 국지적 상황이다. 국지적 상황으로 본다"고 답했다.
홍 수석의 이 답변에 대해선, 청와대도 일단 긴장이 전면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게 본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정부성명 발표 후 홍상표 홍보수석과 청와대 출입 기자들이 일문일답 기자: 대통령은 언제 보고 받고 어떻게 상황에 대처했나, 대응사격을 직접 지시했나? 홍상표 수석: 대통령은 거의 실시간으로 보고 받았다. 교전수칙에 따라 현지 지휘관이 대응사격하도록 되어있다. 대통령은 위기관리센터에서 상황을 보고 받고 있고 필요한 경우 화상회의시스템을 통해 현지 지휘관과 합참 등에 필요한 지시를 하고 있다. 기자: 군과 민간의 피해 상황은? 홍상표 수석: 합참에서 자세하게 발표하겠지만, 군 피해는 전체 열네명. 그 중 사망 한 명(한 명이 추가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됨), 중상 세 명, 경상 열 명이고 민간인 부상자는 세 명이다. 기자: 앞으로 대응은? 홍상표 수석: 정부가 북한의 포격행위를 무력도발로 규정했기 때문에 우방국이나 유엔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요청할 것은 요청하고. 기자: 북한의 공격 의도는 무엇으로 파악하나? 연평도 상황은 어떻게 정리되고 있나? 홍상표 수석: 북한의 공격 의도에 대해 내부적으로 논의한 상황이있지만 지금 공개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니 양해해달라. 연평도 산불 등은 북한이 사격하고 우리가 응사하는 상황에서는 소방차 등이 출동하기 어려웠다. 지금은 대처를 하고 있다. 기자: 우리의 대응사격 수준이 비례성, 충분성 원칙에 적합했나? 앞으로 추가도발이 없으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홍상표 수석: 비례성와 충분성에 적합하게 대응했다. 향후 군사적 대응에 대해선 지금 말하기 어렵다. 기자: 대통령의 관련 발언이나 현 상황에 대한 인식은? 홍상표 수석: 대통령은 단호하게 대응하라 그랬다. 확전이 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는 말을 직접적으로 한 적은 없다. 대통령이 직접 그런 말씀을 하신 적은 없다. 군과 민간의 사상자 및 피해에 대해 철두철미하게 챙겨라. 만전을 기해라고 말했다. 기자: 진돗개 하나를 발령해놓고, 데프콘이나 워치콘을 발령하지 않는 이유는? 국민들이 국지적 상황이라고 판단해도 되는 것인가? 홍상표 수석: 군사분계선에서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서해 5도 지역에서 일어나는 국지전 상황이다. 일단 국지적 상황으로 본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설이 있었다. 홍상표 수석: 대통령한테 보고할 수준의 설도 아니었다. 로이터 자회사 쪽에서 시장경보를 띄운 것. 유의미한 것은 아니다고 판단한다. 기자: 국제기구나 해외 정상과 통화 등 상의할 계획이 있는지? 홍상표 수석: 대통령이 지금 직접 아직까지 한 것은 없다. 다만 이 문제가 한반도의 전반적 상황이라든지에 대해 주변국 동맹국과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할 필요는 사안이다. 외교채널 등을 통해서 그런 것을 하고 있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