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방화범에 의해 국보 1호 숭례문이 허망하게 소실된 이후, 문화재청은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 왔지만, 국보 31호 첨성대에 술 취한 관광객이 제재 없이 침입하는 사고,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이 순직하는 비극이 발생한 강릉 석란정 화재까지 문화재 사각지대는 여전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철규 의원(동해·삼척)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문화재 관리 현황에 따르면, 화재에 취약한 목조문화재의 65개소에 여전히 CCTV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CTV가 설치되어 있다 해도 무용지물이었다. CCTV가 설치된 목조문화재 265개소 중 강릉 오죽헌 등 66개소는 식별조차 어려운 50만 이하의 저화소 CCTV가 설치되어 있었다.
목조문화재 144개소는 CCTV만 설치되어 있을 뿐 어느 곳과도 연계되어 있지 않아 화재 발생이나 침입 시 빠른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 문제 발생 시, 상황 확인을 위해 출동경비가 방문하는 시스템이 갖춰진 곳은 전체 목조문화재 중 13.6%인 45개소에 불과했다.
전체 목조문화재 330개소 가운데 고화질의 CCTV가 지자체 관제센터 등과 연계되어 상황 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24시간 안전경비원이 순찰을 돌며 문제가 생기면 바로 방문하는 출동 경비 체계를 갖추고 있는 목조문화재는 3.3%인 11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소방출동에 오랜 시간이 소요돼 관리에 주의가 필요한 목조문화재의 안전관리 실태도 심각한 상황이다.
국보·보물급 목조문화재 149개 중 소방출동에 20분 이상 걸리는 문화재는 32개인데, 이중 21개 문화재는 CCTV는 설치되어 있지만 영상이 연계되지 않았고, 4개 문화재는 24시간 근무하는 안전경비원도 없는 상태다.
지난 8월 관광객이 무단침입한 첨성대 사건처럼, 석조문화재의 관리 부실이 심각한 수준이었다.
CCTV가 설치된 석조문화재는 전체(573개소) 중 약 35%인 200개소뿐이고, 이 중 지자체 관제센터 등과 연계된 곳은 11.8%인 68개소에 불과한 수준이었으며, 출동경비 체제도 전체(573개소)의 43개소만 갖춰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창경궁 자격루,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석굴암 석굴, 불국사 사리탑 등 이름만 들어도 아는 문화재가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이다.
이 의원은 “중요 문화재가 수난을 겪는 것은 일부 몰지각한 시민들의 의식부족이기도 하지만, 주요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는 완벽한 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사후약방문이 되지 않도록 다양한 보안방식을 도입해 촘촘하고 다변화된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